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은 직접인용과 간접인용의 구분기제로 알려진 화시소의 전이 현상을 중심으로 하여, 간접인용을 화시 중심의 일원화 과정으로 설명할 수만은 없음을 살펴보고, 언어 유형적으로 인용의 종류를 나눌 때 가능한 접근법이 무엇인지를 논의한 것이다. 간접인용이라 하더라도 시제와 장소의 화시소는 인용화자의 관점으로 잘 전이되지 않으며, 시간의 화시어나 인칭 대명사도 부분적으로만 전이가 일어나는 경우가 종종 있다. 또한 언어에 따라 일부의 인칭 대명사만 인용화자의 것으로 바뀌거나 일부의 인칭 대명사는 원래화자의 것이 유지되는 방식으로 간접인용과 직접인용이 구별되는 일도 있다. 이런 현상은 간접인용이 시점을 인용화자로 일원화하는 과정인 것만은 아님을 시사한다. 따라서 화시소의 부분 전이 현상이 수의적인 것인지 의무적인 것인지를 구별할 필요가 있고, 언어마다 간접인용의 지표의 종류나 범위가 다를 수 있으므로 인용의 유형론은 해당 언어에서 이런 중간 유형을 허용하느냐의 문제보다 전이의 정도차를 보이는 화시소의 종류 및 그 전이의 의무성 여부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 반직접인용이나 간접인용처럼 관점의 전이가 허용되는 형식의 출현 배경으로는 화자의 주관화 경향과 이런 주관화를 허용하는 구술 내러티브의 특징을 생각해볼 수 있다.


This paper deals with shifts in deixis which are crucial properties distinguishing direct and indirect speech reports. It has been said that the perspective of the original speaker shifts towards that of the reporter and his speech situations in indirect speech. Much indirect speech, however, don't show so much shifts according to current reporting situation, but rather it's common to contain the viewpoint of the original speaker as well. This paper argues that this bi-perspective found in reported speech is partly because of the characteristics of deixis themselves, partly because of the way of telling direct and indirect speech apart in some languages. Also we emphasize that multiple perspective is possible even within one sentence. On the basis of these facts, thus, it is claimed that obligatory shifts in deixis are distinguished from optional ones in classifying the kinds of reported speech. As for incomplete shifts in personal deixis, it may be the manifestations of speaker's subjectif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