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는 민족어 문법 연구에서 첨사는 물론, 격 어미, 부치사를 세우고 그 유형론적 함의 내용을 분명히 하는 데 목적이 있다. 필자는 초기의 서양인의 업적과 이숭녕(1966)에서 제안된 세 범주에 대한 인식을 생성 문법과 문법 형태화에 대한 이론과 접합시킴으로써 세 범주의 설정 타당성을 논증하였다. 특히 부치사를 세움으로써 종전의 문법 연구에서 귀속이 어려운 준조사류를 후치사에 넣을 수 있었다. 민족어와 계통적 구조적 친근성이 밀접한 퉁구스 제어, 몽골어, 튀르크 제어와 비교한 결과, 격 어미는 단음절로 되어 있고 선행 명사의 음성적 환경에 따라 분화된다는 공통성이 있다, 부치사, 곧 후치사는 그 기원이 명사, 동사, 부사인 점에서 민족어와 비슷한 것이 적지 않았다. 민족어의 첨사는 알타이어 중에서 가장 풍부하며 중세어의 의문 첨사는 퉁구스어와 몽골어와의 공통성이 인정된다. 다른 한편 알타이 제어는 격어미끼리 통합되나 민족어는 격 어미와 첨사가 자유로이 결합된다는 차이점도 지적할 수 있다.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case-markers, adpositions and particles in the Korean Descriptive Grammar and clarify their typological implications. The writer interpreted the early Westerner's grammatical cognitions in terms of the generative grammar and the recent theory of grammaticalization, demonstrating the validity of the three grammatical categories in Sung-Nyong Lee(1966). Moreover, by establishing Adpositions, namely postpositions the writer tidied up the belonging of semi-particles which had been blurred in classification of word-class. When compared with Tungusic, Mongolian and Turkish showing genetic and structural affinities to Korean, Korean shares with them those characteristics that case endings are built in monosyllabic and take morphophonemic alternations according to the environment of preceding noun stems. Altaic Adpositions are similar to Korean in that their origins are nouns, verbs and adverbs. Korean has the richest particles among the Altaic languages; the interrogative particles of Middle Korean are shared with Tungusic and Mongolian. On the other hand, there are some differences that while Altaic case endings combine with each other, Korean shows the free combination of case endings and partic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