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은 수량사구와 결합하는 ‘이서’의 문법 범주를 설정하는 데 목적이 있다. 그동안 ‘이서’는 거의 모든 연구에서 단일 범주로 처리되었다. 이 글에서는 ‘이서’의 선행 형식에 따라 ‘이서’를 두 가지로 해석한다. 하나는 [NP QP-이서] 구성으로 실현되며 여기서 ‘이서’는 부사격 조사이다. ‘이서’에 선행하는 수량사구는 기수사나 분류사구로 실현되는데, 이들은 선행 명사구의 수를 지시한다. 다른 하나는 [NP-이 QP-이서] 구성을 이루고 [이+서]로 분석된다. ‘-이’는 부사 파생 접미사이고 수량사구는 기수사로만 실현된다. 후행하는 ‘서’는 [QP-이]를 강조하는 보조사이다. 하지만 두 ‘이서’ 모두 수량사구와 더불어 [+공동성]의 의미 자질을 지니며 문장에서 방식 부사어로 기능한다는 공통점이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grammatical category of iseo combined with quantifier phrases. In previous researches, iseo has been treated as a single lexical category. In this study, iseo is interpreted in two different ways according to their preceding forms. One is realized with an [NP QP-iseo] combination, and in this case, iseo is an adverbial particle. The quantifier phrases followed by iseo are realised as cardinal numbers or classifier phrases, determining the number of preceding noun phrases. The other makes up a [NP-i QP-iseo] combination, and it is analysed as [i+seo]. -i is an adverb-derivational suffix, and quantifier phrases are realized only as cardinal numbers. The seo is an auxiliary particle that emphasizes [QP-i]. However, iseo in both cases share the common properties: they both possess the semantic feature of [+joint-partnership] along with quantifier phrases, and each functions as a manner adverbial in the sent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