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먹다’류 어휘적 대우인 ‘먹-, 자시-, 잡수-’ 중에서 ‘잡수-’는 17세기에 새롭게 등장한다. ‘잡수-(<잡-)’는 청자 높임법의 3등급 체계가 4등급 체계로 변화하자 ‘쇼셔체’ 등급을 담당하는 대우 어휘로 보강된 것이다. ‘먹다’류 어휘적 대우의 사용 범위와 기능은 동시대의 청자 높임법 체계의 등급 및 계열과 밀접한 연관성을 맺는다. 즉 청자 높임법의 변천은 ‘먹다’류 어휘적 대우의 끊임없는 변천을 가져왔으며, 그 결과로 ‘먹-, 자-, 자시-, 잡-’의 어휘적 대우 체계가 이루어진 것이다. 15세기에는 ‘먹다’류 어휘적 대우가 ‘*좌-’와 ‘먹-’의 형태소만을 보여 주나, 17세기 국어에서는 ‘먹-, 자-, 잡-’의 형태소가 ‘먹다’류 어휘적 대우를 형성한다.


The honorific vocabulary of ‘먹다’ type are ‘먹-, 자시-, 잡수-’. ‘잡수-(<잡-)’ has appeared in each of the 17th century. Their use extents and functions is closely related to the ratings and series of contemporary addressee-honorifics. ‘잡수-’ is from the 17th century. At this point, 3 rating systems of addressee-honorifics started to change 4 ratings. Shortly afterward, ‘잡수-’ is responsible for the highest rating in the through the lexicalization and the lexical honorifics will ever treat new supercharged. The historical change of addressee-honorifics gave the incessant change of the honorific vocabulary of ‘먹다’ type. And as a result of the honorific vocabulary of ‘먹다’ type is formed treat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