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는 ≪시간적 한정성≫이라는 문장레벨의 의미·기능적인 범주를 구체적인 한국어 예문을 통해 확인해 보고, 또한 시간적한성성에 관련된 구체적인 논의로는 제주방언의 형용사에 관하여 고찰한 것이다. 기본적으로 현실시간 속에서 동적으로 전개되는 구체적이며 개별적인 <운동>은 일시성을 나타내며 화자의 지각과 체험으로 확인할 수 있다. 반면 항상성을 나타내는 <본질>은 사고에 의해 일반화된 판단이다. 전자는 주로 시상법을 체계를 갖고 있는 동사술어문으로 표시하게 되며, 후자는 주로 시상법체계가 불완전한 명사술어문에 의해 표현된다. 그리고 이 두 가지 프로트 타입(prototype)사이에는 주로 형용사술어문으로 나타내는 <상태>와 <특성>이라는 의미영역이 존재한다. 또한 제주방언의 형용사에 대해서 <한다>는 <항상성>을, <하염쩌>는 <일시성>을 명시하는 형식이며, <하다>는 일시성과 장기계속을 의미하는 형식이라는 점을 확인했다. 이러한 지적은 제주방언 자체 내에서의 문법적인 현상과 언어유형론적인 관점, 그리고 중세한국어 등에서 그 근거를 찾을 수 있다.


This paper aims to discuss some issues on temporal-stability scale in korean, analyzing sentences containing predicate adjectives in Jeju dialect. In Korean, accidentality is represented with individual <single events> occurring at the present tense which can be identified by speaker's perception. By contrast, essentiality is expressed with <feature-association> which is recognized by generalized judgement made by speakers' experiences. The former is marked with <verbs> having the perfect system of tense, aspect and mood while the latter with <nouns> having comparatively less stable system of the categories. Between these two proto-typical categories (nouns and verbs) standing at the both ends of the temporal-stability scale, an adjectives serves as a semantic category representing <actual states> and <single-feature concept> in the middle of the scale. In order to investigate the semantic role of Korean adjectives, this paper examines three adjectives <handa(한다)><hada(하다)> and <hayemcheo(하염쩌)> used in Jeju dialect. It will be shown that the adjective<handa(한다)>expresses essentiality while the other <hayemcheo(하염쩌)> accidentality, and the adjective <hada(하다)> stands the two adjectives. This observation of the semantic ambivalence of the adjectives can be verified by the consideration of other grammatical phenomena, typological patterns, and data found in Middle Kore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