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내포절이 의문문이고 그 속에 의문사가 들어 있는 경우, 의문사의 영향력은 내포절에만 미친다는 것이 생성 통사론의 한 규칙이다. 그 이론에서는‘[+WH] 의문 보문자 제약’에 의하여 내포절 밖으로의 의문사 이동을 허용하지 않음으로써 좁은 범위 해석만 나오게 규정하였다. 그러나 이 글에서는 내포된 의문문의 의문사의 영향력이 내포절에만 미치는 경우도 있고, 모문에까지 미치는 경우도 있다는 것을 보이고 그 현상을 설명하는 새로운 기준을제시하였다. 모문 동사가 화법 동사인 경우 내포되는 절의 성격은 ‘발화’와 ‘사유’로 나누어진다. 내포절이 의문문이 아닌 경우[즉, 평서, 명령, 청유문인 경우], 그속에 의문사가 있고 모문이 의문문이면 내포절은 무조건 ‘사유’로 해석되고내포절 속의 의문사는 모두 넓은 영역을 가진다. 의문문이 내포된 경우, ‘발화’가 내포되었을 때는 의문사의 영향력이 내포절에만 미치고, ‘사유’가 내포된 경우에는 모문에까지 미친다. 대부분의 경우는 ‘발화’의 내포로서, 이때는내포절 절말 위치에 ‘[+WH] 의문 보문자’가 나타나고 ‘WH-의문 보문자 제약’과 ‘하위 인접 조건’이 적용되어 의문사의 영향력은 좁은 범위로 제한되고모문은 판정 의문문이 된다. 아주 드물게 특별한 상황에서 ‘사유’가 내포될때는 내포절의 절말 위치에 ‘-(으)ㄴ고’계의 [+WH] 의문 어미가 올 수 없고‘-(으){ㄴ가, ㄴ지}’의 [-WH] 의문 어미가 나타나야 한다. 이 경우에 내포절에서는 의문사와 의문 보문자 사이의 [+WH] 자질 일치가 이루어지지 못하므로, 의문사의 영향력은 넓은 범위가 되어 모문에까지 영향력이 미쳐서 모문이 설명 의문문이 된다. 모문 동사가 사유 동사인 경우는 내포절이 ‘사유’인 것이 대부분이고 그 경우 넓은 범위 해석을 가진다. 드문 경우 의문사의 영향력이 내포절에만 미치는 경우가 있는데 그때는 내포절이 ‘발화’로 해석된다. 추측 표현의 경우 내포절은 모두 ‘사유’로 해석되고 내포절의 의문사는 넓은 범위 해석을 가진다. 그러므로, 이 현상은 통사론적 현상이 아니라 의미론적 현상으로 설명하는 것이 더 합당하다.


In an interrogative sentence which has a wh-word in the embeddedinterrogative clause, the effect of the wh-word reaches only to theembedded clause. This is a well known rule in the Theory of theGenerative Syntax. In this framework, they explained the phenomenonas ‘wh-complementizer constraint’, that is, the wh-word can not moveout of the embedded interrogative clause. This paper, however, arguesthat the effect of the wh-word in the embedded interrogative clausemay reach to the matrix sentence in some cases, and suggests a newcriterion to explain this phenomenon. When the matrix verb is a ‘narrative verb’, the content of theembedded clause is divided into an ‘utterance’ or a ‘thought’. If theembedded clause is not an interrogative[that is a declarative, animperative, or a propositive], the content of the embedded clause mustbe a ‘thought’, and the effect of the wh-word in the embedded clausemust reach to the matrix sentence. In case the embedded clause is aninterrogative, the content of the embedded clause may be either a‘thought’ or an ‘utterance’. And when the content of the embeddedclause is a ‘thought’, the effect of the wh-word in the embedded clausemay reach to the matrix sentence. When the content of the embeddedclause is an ‘utterance’, the effect of the wh-word in the embeddedclause can only reach to the embedded clause. When the matrix verb is a ‘thinking verb’, the content of theembedded clause is in most cases a ‘thought’, and the effect of thewh-word in the embedded clause reaches to the matrix sentence. In a few cases, however, the effect of the wh-word in the embedded clausereaches only to the embedded clause. That is when the content of theembedded clause is an ‘utterance’. In the case of the ‘guess expression’,the content of the embedded clause is always a ‘thought’, and theeffect of the wh-word in the embedded clause always reaches to thematrix sentence. Therefore, this phenomenon is not a syntactic one but a semantico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