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는 속담이 사용되는 전형적인 형식 중 하나인 보문 구성에서 ‘법, 격, 셈, 식’ 등의 보문명사와 속담의 의미·형식상의 관련성을 고찰하였다. 현재형 ‘는 법’ 형식으로 쓰이는 ‘법’은 교훈적인 속담에 결합하여 일반적 이치를 나타내면서 화자의 내면화된 정보를 단정하는 양태 의미를 표현한다. ‘격’은 속담에 사용되는 전형적인 보문명사로 ‘는/은 격’ 형식을 취하며, ‘는/은/을 셈’ 형식을 취하는 ‘셈’과 교체되어 사용되는 특성을 지닌다. ‘격’은 현재 상황을 속담으로 유형화하고(‘A ∈ B’), ‘셈’은 현재 상황이 속담의 상황과 유사하다(‘A ≒ B’)는 점을 추론한다. 또한 ‘격’은 ‘엎친 데 덮친다는 격으로’와 같이 간접보문 구성을 형성하여 속담이 인용되는 전형적인 틀 제시 형식으로 사용된다. ‘식’은 동사와 결합하는 특성이 있고 명사형 ‘기’로 끝나는 속담에 결합하여 ‘V+는 식, V+기 식’ 구성으로 사용된다. 속담은 어미 형식에 따라 명사형 ‘기’로 끝나는 속담(‘손바닥으로 하늘 가리기’)과 ‘듯’으로 끝나는 속담(‘구렁이 담 넘어가듯’)으로 구분 가능한데, 이들은 주로 ‘격/셈’ 보문명사와 결합하여 쓰이고 서로 환언 관계가 성립한다. 반문형(‘공든 탑이 무너지랴’)이나 의문형(‘아니 땐 굴뚝에 연기 날까’) 속담은 의미상 서술형의 단언이 내포되어 있으므로 이들 속담의 부정형과 ‘법’ 보문명사가 결합하여 쓰이는 특징이 있다.


This paper investigates how the proverbs transform into NP complementation constructions which are typical proverbial forms. ‘beop’ takes the pattern of ‘-neun beop’ and represents moral meanings which assert speaker’s assimilated information. ‘gyeok’ takes the pattern of ‘-neun/eun gyeok’ and alternates with ‘sem’ which takes the pattern of ‘-neun/eun/eul sem’. ‘gyeok’ classifies the current situation (A) into a certain type which is represented by a proverb(B)(‘A ∈ B’), ‘sem’ takes the current situation(A) as the situation represented by a proverb(B)(‘A ≒ B’). And ‘gyeok’ is used as frame-setting devices through forming indirect NP complementation(ex. ‘엎친 데 덮친다는 격으로’). ‘sik’ usually combines with verbs and has the pattern of ‘V+neun sik, V+gi sik’. Proverbs can be divided into ‘gi’-ending proverbs(ex. ‘손바닥으로 하늘 가리기’) and ‘deut’-ending proverbs(ex. ‘구렁이 담 넘어가듯’). Both kinds of proverbs typically combine with ‘gyeok/sem’ and alternate with each other. Rhetorical proverbial patterns(ex. ‘공든 탑이 무너지랴’, ‘아니 땐 굴뚝에 연기 날까’) entail opposite assertions and their negative forms combine with ‘be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