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버블경제 붕괴 후 일본경제는 ‘잃어버린 10년’에 비유되는 장기간 경기침체를 경험했다. 일본 자동차회사들은 기업 실적이 침체․하락하는 상황에서 국제경쟁력 강화와 수익성 회복을 목적으로 경영 전반에 걸쳐 다양한 개혁을 지속해서 단행해 왔다. 성과주의에 대표되는 인사임금제도 개혁은 그 대표적 사례이다. 한편, 2000년대에 들어오면서 한국 자동차산업에서도 임금제도 개정 움직임이 나타났다. K기업 노사는 2005년 단체교섭에서 주간연속 2교대제 도입에 합의하고, 2006년, 2008년 단체교섭에는 생산직 월급제를 실시하기로 합의하면서 노동시간 단축에 따른 임금보전 즉, 노동시간과 연계된 임금 항목의 보전수준과 보전방법, 그리고 월급제 전환 등은 노사쟁점으로 등장했다. 본 연구는 일본을 대표하는 J1, J2기업과 한국의 K기업을 대상으로 생산직(기능직) 임금제도에 초점을 맞추어 임금제도 개정 동향을 분석하고 그 특징을 고찰하고자 한다. 본 연구대상인 J1기업은 일본을 대표하는 자동차기업으로 K기업이 생산 시스템 및 노사관계 등 벤치마킹 대상으로 삼는 기업이다. J2기업은 1980년대 초반부터 1990년대까지 K기업과 자동차 제조 관련 기술협약을 맺은 기업으로 유명하다.


Due to the changes in the industrial environment, such as the breakdown of bubble economy since 1990s and accordingly the long-term depression and the stagnant outcomes of companies, etc., Under such situations, various kinds of reforms of the overall administration system have continuously been implemented in the Japanese automobile industry in order to recover its profitability. The representative reforms are the performance-base human resource management and compensation systems. On the other hand, some movements for revising the compensation system even in the Korean automobile industry also appeared at the same time. While the employees and management of K company agreed to introduce the weekly continuous two-shift system through collective bargaining in 2005 and agreed to implement the monthly salary system for blue workers through collective bargaining in 2006 and 2008, the conservation level and method of compensation items and the change into the monthly salary system and so forth that are connected to the shortening of the labor hours have appeared as the hot issues between the employees and the management. In this thesis, it is intended to examine the directions of the responses to the changes in the social structures including the intensification of competition due to globalization,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aging of population and so on in the Korean and Japanese automobile industries since 2000s by examining how the compensation systems change under the changing environments and by analyzing the trend of revisions of the compensation syste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