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는 성서언어학적 연구로서 두 가지 내용을 담는다. 첫째, 구약성경히브리어 본문에서 독립인칭대명사가 사용된 동사문을 문장론 차원에서 관찰하고 그 형식과 의미를 검토한다. 이 목표를 위해 독립인칭대명사의 역할에 대한 연구사를 검토한다. 게제니우스(Gesenius)와 쾨니히(König) 등 19세기를 대표하는 히브리어 문법서들은 공통적으로 독립인칭대명사가 동사문에서 대개 강조를 의미한다고 설명한다. 왜냐하면 히브리어 한정동사는 이미 주어의 성과 수를 드러내기 때문이다. 하지만 주옹・무라오카(Joüon/Muraoka), 월트키・오코너(Waltke/O’Connor) 등 후대의 문법서는 독립인칭대명사가 강조를 의미하지 않는경우를 규정했다. 이 논문은 독립인칭대명사가 명백히 강조되는 경우만을선명하게 드러내기 위해서 독립인칭대명사적 요소가 문장에서 의존인칭대명사 등으로 명백히 반복되는 경우만을 다루었다. 그리고 문장의 분석은리히터(Richter)의 구조주의적 방법론을 적용하고, 히브리어 문장 경계는BHt(Biblia Hebraica transcripta)를 따른다. 둘째, 그 결과에 기반하여 현행 우리말 번역본을 다른 현대어의 번역본과 비교한다. 그리하여 우리말 성경 번역의 현주소를 가늠하고, 성서언어학적으로 한 단계 더 나은 우리말 성경번역의 방법을 모색한다. 특히 원문과 번역문의 형식적 일치, 느낌, 뉘앙스를 주목한다. 창세 27,34; 신명 5,3; 코헬 1,6 그리고 2,1 등 4개 예문의 영어(7개), 독일어(4개), 프랑스어(3개) 중요 번역본과 우리말 번역본을 비교하고 비평한후, 히브리어 원문에 충실한 한국어 번역을 제시했다. 그 결과 일부 한국어 번역본은 독립인칭대명사의 사용에 충분한 주의를 기울이지 못했음을드러내었다. 그리하여 독립인칭대명사의 용법에 충실한 우리말 성경 번역을 제시한다.


The present article encompasses two thems. First, the ciritical observation on the form and the meaning of the Hebrew verbal clause in which an independent personal pronoun is realized. For that purpose, the history of the research concerning the usage of the independent personal pronoun is reviewed. The representative Hebrew grammars of the 19th century, i.e. Gesenius and König, are common to explain of the meaning of the independent personal pronoun what it means in general as regards emphasis, because the Hebrew finite verb itself can reveal the number and the gender without the usage of the independent personal pronoun. The recent grammars, i.e. Joüon/Muraoka, Waltke/O’Connor, however, designate the cases in which the independent personal pronoun does not mean the emphasis. This article takes only the clear cases in which the independent personal pronoun means the emphasis through repetition(s); that is, the clauses in which the identical person of the independent personal pronoun is repeated through the enclitic personal pronoun. The Richter’s structualistic methodology is applied in the the anlaysis of the clause, and the clausal demarcation follows the BHt. Second,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Korean translation linguistically, the contemporary Korean versions of the Bible are compared with the other modern translations, concerning the usage of the independent personal pronoun. Comparing 4 references, Gen 27,34; Deut 5,3; Eccl 1,16 and 2,1, with 7 English versions, 4 German versions, 3 French versions, the formal integration, the repetitions and the nuances are all focused. As a result of such comparison, it is evident that the emphasis generated by the independent personal pronoun in the Hebrew text was partially neglected in the contemporary Korean versions; So the improved and alternative Korean translations are presented to the faithful usage of the independent personal pronoun in the original Hebrew t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