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영남권 지명 연구의 성과를 정리하고 앞으로의 지명 연구의 과제를 설정하는데 목적이 있다. 영남권 지명 연구의 성과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영남권 지명 연구는 다른 지역에 비해 활성화 되어 있는 편이다. 고지명 연구에서부터 현재 지명의 국어학적 연구, 지명 유래와 관련된 민속학적 연구, 지명의 지리학적 연구 등 다양하게 이루어진 상태이다. 그러나 근대지명이나 일제 강점기 지명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편으로 연구의 불균형이 나타난다. 둘째, 지역별로 소지명에 대한 연구가 활성화 되어 있고 지역적으로 불균형을 이루고 있다. 특정 지역에서는 면단위까지 조사 연구된 지역이 있지만 그렇지 않은 지역도 많기 때문에 지명 정보의 불균형을 야기한다. 셋째, 지리학적 연구와 지명 정책 등의 연구가 부족한 편이다. 영남권의 지명 연구는 국어학적 연구가 많으나 지리학적 연구나 민속학적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한 편이다. 지명에 대한 학제 간 연구가 부족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넷째, 조사 분석된 지명의 해석 오류가 나타나고 있다. 연구자마다 해석의 관점에 따라 동일한 지명에 대한 다양한 해석이 나타난다. 이는 지명 정보의 혼란으로 이어져 지명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방해할 수 있다. 이에 대해 다음과 같은 과제를 설정할 수 있다. 첫째, 지명 연구가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고지명, 현재 지명에 대한 종합적인 자료 구축이 필요하다. 해당지명의 고지명과 현재 지명의 변천을 이해하고 지금까지 연구된 자료를 종합적으로 살펴볼 수 있는 지명 자료 베이스는 지명 연구를 더욱 활성화할 것으로 기대 된다. 둘째, 지금까지 연구된 지명에 대한 종합적인 검토가 필요하다. 고지명의 어원이나 지역 소지명의 어원 등의 오류를 점검하여 지명 연구의 올바른 방향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지식 정보화 사회에서 지명 정보에 대한 접근이 수월한 상황이므로 지명 분석의 오류를 시급하게 바로 잡지 않으면 더 많은 노력과 연구가 필요하게 된다. 셋째, 지명 자원화를 위한 학제간 연구가 필요하다. 지명어만을 대상으로 한 국어학적 연구뿐만 아니라 민속학적 연구, 역사 지리학적 연구, 그리고 지명 정책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 집단을 통해 지명 정보의 체계화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넷째, 지명 연구의 다양한 방법론이 제기됨에 따라 용어의 혼란을 정리하고 지명 자원화를 위한 지자체의 전담 기구 설립과 정부 차원의 지명 관리 시스템이 필요하다.


We looked at the results of Toponymy in Yeongnam focusing on regional researches so far. To sum up the results, it is as follows. First, Toponymy in Yeongnam is activated compared with other regions. Studies have been done from old Toponymy to current Toponymy as a philological studies, folkloristic studies on the origin and the geographical Toponymy. However, there is an imbalance because of the lack of Toponymy in modern times and Japanese colonial era. Second, although researching for small units of Toponymy is activated by regional groups, there still is a regional unbalance. We have some areas which are studied to myeon units, but many others aren't. Third, it lacks studies for geographical researches and policies of Toponymy. Toponymy in Yeongnam doesn't have enough studies for geographical and folkloristic researches but the philological studies. It means that we don't have many interdisciplinary researches about Toponymy. Fourth, the interpretation errors of Toponymy are often found. Researchers have different points of view on the same place name. This could disrupt the correct of perception of the place name leading to confusion of the information. We can set up the subjects on this as follows. First, we need to construct comprehensive materials for old and current Toponymy to be activated for the studies. We understand the changes of the old and current Toponymy and expect that the materials which can be shown the researched materials comprehensively can make Toponymy more activated. Second, We have to examine Toponymy which has been researched until now and suggest the right direction of Toponymy, checking errors for old and small units of Toponymy origins. If we don't rectify the analysis errors immediately in the information society where we can approach the name of places easily, we will be forced to expend much effort and need to study more in the future. Third, the multidisciplinary research is needed for the resources of Toponymy. It takes effort to systematize the information of Toponymy through expert groups from various fields, not only philological studies for Toponymy but also folkloristic, history geographical studies and policies of Toponymy. Fourth, as it is suggested a variety of methodologies of Toponymy, we need to organize the terms and establish an institution charged by a local autonomous entity for resources of Toponymy and have a system for managing Toponymy under gover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