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구한말 한반도 지형도’는 1895년부터 1896년에 걸쳐 제작된 5만분의 1 지형도를 말한다. 이 지형도는 청일전쟁과 노일전쟁에 따른 군사적인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일본에 의해 비밀리에 제작되었고, 일본 육군의 육지측도부가 측도(測圖, 측량과 제도)를 담당했다. 일반적으로 ‘약도(略圖)’, ‘제1차 지형도’라고 불리는 이 지형도에는 19세기 말엽~20세기 초엽의 한반도 지명이 수록되었으며 각 지명에는 그 독법이 가타카나로 된 토로 표시되었다. 이 토는 지형도 제작 당시에 통역과 현지에서 고용된 한국인 ‘통변(通辯)’이 현지 주민으로부터 직접 청취하여 채집한 것으로 보인다. 지명에 첨가된 토의 60% 이상은 음독된 것이지만 일부는 훈독된것도 포함되어 있어 그 당시의 훈독 지명의 실태를 파악할 수 있는 귀중한 자료가 된다. 이들 토 중에는 『조선지지자료』, 『한국지명총람』등 다른 자료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도 포함되어 있다. 또한 1909년부터 1911년에 걸쳐 ‘지형도’, ‘제2차 지형도’라는 불리는 지형도가 제작되었는데, 그 지명에는 ‘제1차 지형도’와 동일한 방법으로 가타카나로 된 토를 달았다. ‘제2차 지형도’의 지명에 첨가된 토는 비록 그 연대는 후대의 것이지만 ‘제1차 지형도’의 자료적 가치를 보완할 수 있는 가치를 지닌 것으로 평가된다. ‘구한말 한반도 지형도’ 지명의 자료적 가치에 대하여 다만 ‘제1차 지형도’, ‘제2차 지형도’에 수록된 지명에 첨가된 토는 불충분한 요건 속에서 채집되었으며, 음독과 훈독이라는 양면성을 가진 지명의 어느 한쪽만을 채집한 가능성이 있다는 점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들 지형도의 지명에 첨가된 토를 자료로 활용할 경우에는 반드시 다른 자료와의 비교 대조 작업을 거칠 필요가 있다.


This paper is the study of topographical maps that are called "Guhanmal-hanbando-Topographical Maps". This is the 1/50,000topographical maps manufactured from 1895 to 1906. This topographical map was manufactured for the military purpose in accordance with the Sino-Japanese War and the Russo-Japanese War. Japanese army made this map and was generally called a "yak-do" or "the first topographical map." The place names early in the 20th century are mentioned in this topographical map from the end of the 19th century. The reading of the place names is expressed in katakana of Japanese. It seems that the Japanese interpreters and the Korean interpreters heard the katakana added by this place names directly from local residents. This katakana is the precious data for getting to know the reading of the place names of those days. Moreover, the topographical map called 'jihyeongdo' or "the second topographical map" was manufactured from 1909 to 1911. Although katakana is written together by the place names of this map, this katakana is worth of complementing data of "yak-do". However, the place names of these maps were collected in insufficient requirements. Therefore, to utilize the place names of these topographical maps, it is necessary to certainly perform comparison and contrast with other data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