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은 화법 교육사의 차원에서 근대식 학제 도입기 학부에서 편찬한 『서례수지』의 편찬 과정과 내용 및 의미를 규명하는 데 목표를 두었다. 이 교재는 본래 1866년 영국인 존 프라이어가 저술한 것을 1886년 상해 격치서원에서 왕도(王韜)가 서문을 붙여 발행한 책이다. 근대식 학제 도입 직후 학부에서는 이 책을 편역했는데, 1896년 편역한 책은 한문본이다. 그 후 1902년 중간본을 발행하고, 이에 해당하는 국문본은 신간(新刊)했는데, 이 논문에서 분석 대상으로 삼은 것은 중간본과 국문본이다. 이 논문에서 논의한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서례수지』의 구성은 ‘총설’, ‘결교’, ‘연객’, ‘배객’, ‘담서’, ‘용어’, ‘의식’, ‘취악’, ‘영사’의 9장으로 구성되었다. 이를 번역한 국문본도 장 구성이나 내용상 큰 차이가 없다. 이 책은 서양인의 교제 예절을 중심 내용으로 하였으며, 특히 부인과 여자를 대상으로 한 예절이 많은 부분을 차지한다. 둘째, 이 책이 등장하게 된 배경은 유길준(1895)의 『서유견문』이나 이 시기 신문 논설 등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서양인과의 교제에 필요한 예절 지식이 급증했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셋째, 화법 교육의 차원에서 『서례수지』는 ‘수신’ 교과의 교육 내용을 이루었을 것으로 추정되며, 그 가운데 ‘담서(談敍)’는 화법의 ‘구두 언어성’, ‘상호 교섭성’, ‘관계성’, ‘사회문화성’과 밀접한 관련을 맺는다. 넷째, 화법 교육의 차원에서 『서례수지』는 1906년 이후 수신과의 담화 예절, 처세법 등의 지식 발달의 기반이 되었다.


This paper aims at exploring Seoryesuji(西禮須知) which was published by the Hakbu(學部, the Ministry of Education of the Korean Empire) in 1896 as a textbook.. First published in 1866, this book was written by John Fryer(1839~1928, Chinese name Burana, 傅蘭雅) who had undertaken missionary activities in Shanghai(上海). This book was first published in 1866. The revised edition was published in 1886, the preface to which was written by Wangdo(王韜) in 1886. The Hakbu edited and translated this book using Chinese in 1896. This book could not be found within the country. The reprinted book, published in 1902, is kept in Dankook University’s Yulkok library. This book was published by the Hakbu and translated into the Korean language in 1902. This book consists of nine chapters. Among the chapters, ‘Damseo(談敍, discourse and narrative)’ were focused on speech education. The nature of speech discussed in the book includes oral language, mutual negotiation, human relationships and sociocultural characteristics. At the school’s subjects were not divided accordingly, this book does not contain Korean language. However, this book influenced the Korean speech education of the 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