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는 여성 자유발화 반말체를 대상으로 구어 종결어미 ‘-잖아’의 화용적 특성과 이에 작용하는 억양의 역할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첫째, 종결어미 ‘-잖아’는 평서문에서 담화 구조에 따라 다양한 화용적 기능을 수행한다. 담화의 흐름을 이끄는 전제나 주제를 제시하기도 하고 환기, 이유, 설명, 반박, 불만/비난과 같이 청자나 사태에 대한 화자의 태도를 드러내기도 한다. 둘째, 종결어미 ‘-잖아’를 통해 정보 전달 구조를 변화시켜 화용 전략을 실현한다. 구정보는 공유 경험을 ‘환기’하여 담화 공간을 일치시키려는 의도와 관련되며, 신정보는 상대방의 반응이나 동의를 유도하기 위한 전략에 사용된다. 셋째, 억양은 ‘-잖아’의 화용론적 기능에 기여한다. ‘HL’, ‘LHL’ 는 발화의 결속 표지로 작용하며, ‘H’, ‘LHL’, ‘L:’는 청자와 사태에 대한 화자의 태도를 드러내는 데 사용된다. 억양은 특히 연결 구조에서 의미 기능과 유의미한 상관성을 드러낸다. 청자와의 상호작용성, 간접성을 특성으로 하는 ‘-잖아’는 대면 활동에서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해 고빈도로 사용된다. 담화의 흐름과 정보구조, 억양 유형의 협응을 통해 화용적 기능을 수행하는 전형적인 구어 종결어미라 할 수 있다.


.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ragmatic properties of the spoken language final ending –janha and the role of intonation in the banmal style of women’s spontaneous speech. First, -janha plays various pragmatic functions based on the discourse structure in declarative sentences. It presents a premise or theme that leads the flow of discourse, or reveals the narrator’s attitude toward the listener or situation, such as arousal, reasoning, explanation, refutation, or complaint/criticism. Second, -janha implements pragmatic strateges by changing the structure of information delivery. Old information is related to the intention to “arouse” the sharing experience and accord with the discourse space while new information is used as a strategy to induce a response or agreement from the other party. Third, intonation contributes to the pragmatic function of -janha. It acts as a cohesion marker through “HL” and “LHL,” and reveals the narrator’s attitude toward the listener or situation through “H,” “LHL,” and “L:.” Due to its reciprocity and infirectness, the final ending -janha is very frequently used for smooth communication in face-to-face conversation. It is a spoken language final ending thar performs pragmatic functions by effectively using colloqual properties such and discourse flow, information structure, and intonation typ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