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While the relic containers of Unified Silla and Koryŏ have been extensively studied, there has been comparatively little reflection on the religious practices associated with these relics, in other words there has been no attempt to define the Korean "relic cult." This article aims to show that the concept of a "relic cult," though mainly shaped by the study of Christian practices and later also Indian and East Asian Buddhist practices, is also relevant for Korea. Although there is little textual evidence regarding the use of the relics and the beliefs in them, it is sufficient to show that there are both parallels with the Buddhist relic cult in China and Japan and interesting divergences. The main question addressed is how the sponsorship of reliquaries and the stūpas in which they were placed could help to strengthen royal authority. While all the evidence points to the fact that Unified Silla kings used the power of the relics for private ends, especially to pray for the good rebirth and enlightenment of deceased kings, from the 1021 Hyŏnhwa-sa stele inscription we know that early Koryŏ kings, perhaps for the first time,used the magical reproduction of relics as a sign of their authority as Buddhist monarchs (cakravartin). We can therefore speculate that whereas Silla kings strictly treated the relics as "subjects," in other words not as "things" but as actual presences of the Buddha, in the course of the Koryŏdynasty there was a shift towards treating them more as "objects,"material things that can be reproduced. While aimed at strengthening the image of kings as Buddhist monarchs, this does not seem to have succeeded. Henceforth, the importance of relics would remain mostly in the domain of private faith.


통일 신라와 고려 시대의 불사리 장엄구에 대한 연구가 널리 이루어져온 것에 비해, 이러한 사리들과 관련한 종교적 신행들에 대한 조명은 상대적으로 적은 편이었다. 다시 말해 한국의 ‘사리 신앙’을 설명하려는 시도가 없었던 것이다. 이 논문에서는 기독교 의식들이나 인도 및 동아시아 불교 신행에 대한 연구를 통해 주로 형성되어왔던‘사리 신앙’의 개념이 한국에서도 중요하게 자리하고 있음을 보이고자 한다. 사리의이용이나 그에 대한 신앙을 보여주는 문헌 증거는 빈약하지만, 중국과 일본의 사리신앙과 비교해 보면 비슷한 양상들과 독특한 양상들을 각각 찾아볼 수 있다. 이 논문에서 다루고 있는 중심 문제는 사리를 담고 있는 사리함이나 탑을 후원하는 일이 왕권을 강화하는 데 어떻게 보탬이 되었느냐는 것이다. 모든 증거들을 통해 볼 때 통일신라의 왕들은 개인적인 목적을 위해, 특히 죽은 왕들의 명복이나 깨달음을 기원하기위해 사리의 힘을 빌었다. 그러나 1021년 현화사 비문에서 볼 수 있듯이 고려 초기의왕들은, 아마도 역사상 처음으로, 불교도 군주들처럼(전륜성왕) 자신들의 권위를 나타내기 위해 사리의 신비로운 재현을 이용했을 것이다. 그러므로 신라의 왕들이 사리를철저하게 “주체”로, 다시 말해 “사물”이 아니라 붓다의 실제 현존으로 여긴 반면, 고려 왕조 시기에는 사리를 보다 “객체”로, 즉 재생될 수 있는 물질적인 것으로 보는시각의 변화가 있었다고 추정할 수 있다. 이는 왕들의 이미지를 불교도 군주들의 모습처럼 강화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었지만, 이러한 시도가 성공적이지는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그 이후 사리의 중요성은 주로 개인적인 신앙의 영역 안에 남게 되었을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