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인삼은 청대 전반에 걸쳐 만주황실이 독점적으로 장악한 자원이었다. 인삼의 의미와 위상이 가장 극적으로 과시되었던 것은 후금에서 청으로 발전하던 17세기 초였고, 후금-청의 발전은 인삼의 의미가 확대 변화하는 과정과 일치했다. 누르하치가 건주위를 통치하면서 여진 각 부 및 만주의 기타 세력과 대치하던 시기에 인삼은 대명무역의 핵심상품이었다. 당시 인삼이 중시되었던 것은 무엇보다도 인삼이 지닌 높은 상품적 가치 때문이었다. 누르하치가 여진 부족을 통일하고 세력을 확장하고 후금을 건국하여 명으로부터 독립적인 세력임을 천명하는 동안, 인삼은 명과 후금을 나누는 지리적ㆍ영토적 지표로서의 의미를 지니기 시작했다. 누르하치는 여진의 땅에 한인이 침입하는 것, 무엇보다 귀중한 인삼을 채취하는 것을 방치할 수 없었다. 여진의 인삼을 한인으로부터 보호함으로서 누르하치는 궁극적으로 명과 구별되는 여진만의 영토를 확보하고자 했다. 여진의 독립은 여진만의 배타적 강역을 설정함으로서 대외적으로 확인될 수 있었기 때문이었다. 홍타이지가 후금의 칸으로 등극하면서 인삼은 대외관계에서 보다 분명한 정치적 함의를 지니게 되었다. 이때부터 후금은 인삼을 지키기 위해 명의 한인보다 압록강과 두만강 이남의 조선인에 더 많은 신경을 써야했다. 후금의 지배가 서쪽으로 계속 팽창하여 요동을 완전히 장악하면서 한인이 인삼 산지로 침입하는 것을 비교적 효율적으로 통제할 수 있게 된 것에 비해 조선인의 후금 영내로의 출입은 계속되었기 때문이었다. 조선인의 월경 채삼을 통제하는 가장 확실한 방법은 조선 조정을 압박하여 변경의 조선인을 보다 철저히 관리하게 하고 범월자를 엄벌에 처하는 것이었다. 조선 조정에 대한 압박은 동시에 명에 대한 매우 가시적이고 효율적인 도전이기도 했다. 조선이 청에 굴복하는 것은 곧 명의 권위에 심각한 타격을 입힐 수 있기 때문이었다. 홍타이지의 조선출병은 만주의 보배인 인삼을 보호한다는 경제적 목적과 명을 압박하여 청의 위상을 높인다는 정치적 목적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최선의 방법이었다.


This paper examines the Manchu state’s boundary making through analyzing the ways in which Hong Taiji, the khan of the Later Jin and also the emperor of the Qing, discussed border trespassing and illegal ginseng gathering with his neighboring countries. Soon after succeeding his father to the throne, Hong taiji constantly raised issues relevant to borders and boundaries to the Ming and the Chosŏn. This paper argues that such complaints were a political strategy of the Later Jin, a fragile state built in the Liaodong frontier and also surrounded by various hostile powers, because it had to clarify their boundary and claim the ownership of natural resources growing within their territory. Hong taiji’s actions showed that by this time the Later Jin began to witness the rise of boundary perception, a typical phenomenon seen in a newly emerging political power. The Jurchens were originally a half-nomadic, half-sedentary group, wandering around Manchuria to make their living on hunting and fishing. During the Ming period, Manchuria was largely occupied by various groups of people, including Chinese, Mongols, Koreans and Jurchens, who endured unspecified limits of each other’s boundary, while living mixed together and sharing natural resources growing in the region. The frontier population in Manchuria maintained an equilibrium among the various local tribes under the Ming supremacy, which was largely acknowledged among the residents, but not always dominant throughout the entire region. When the Jianzhou Jurchens unified various tribes and emerged as a serious contender in Liaodong, the power relationship in the frontier was violently shifted. It was during this shifting period when the Ming, Jurchens, and the Chosŏn were required to clarify limits of their boundary. The transformation of the Jurchens from a nomadic tribe to an agrarian state based in Liaodong can be traced in their claims that the Ming and the Chosŏn should recognize the territory exclusive to the Jurchens. The series of the expansions of the Later Jin, including the conquest of Liaodong, military actions against on Ming Liaodong fortresses, and two campaigns against Korea, came along with Manchu assertion of an exclusive right to access ginseng growing in the border region. However, neither the Ming nor the Chosŏn would easily accept the rising Manchu power and the subsequent Qing supremacy. Until the Manchu launched their second campaign against Korea in 1636 and crossed the Shanhai Pass to enter Beijing in 1644, boundary negotiations and border trespassing made the relations among the Qing, the Ming, and the Chosŏn agonizing and viol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