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크게 두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는 저비용 항공사를 이용하는 소비자를 유형별로 분석하여 가격 경쟁력에 기반한 저비용 항공사에 대한 소비자인식을 심층 고찰한다. 둘째는 연구방법론적 측면에서 개인의 주관적인 영역을 탐구할 목적으로 개발된 Q방법론을 적용하여 저가 항공소바자의 고객유형별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다. 연구 설계는 Q방법론을 통해 저비용 항공사에 대한 진술문 구성, 진술문 수집, 응답자 선정, Q분류 및 분석단계별로 진행되었다. 23개의 표본 중 20명이 최종 표본으로 선정되었으며 -3부터 +3에 이르는 7개의 점수척도를 통해 분석은 PC용 QUANL 프로그램으로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세 가지 유형을 도출하였는데 제1유형은 가격 민감형 인터넷 헤비유저로 명명되었으며 제2유형은 시간 민감형 고학력 전문직, 제3유형은 안전 중시형 보수적 여행자 그룹으로 확인되었다. 제1유형은 저비용 항공사의 어떠한 불편함도 기꺼이 감내가 가능한 특성을 지니고 있으며 제2유형은 시간에 민감한 집단으로서 자신의 자아가 확고하여 시간을 중요한 자산으로 인식하며 상호신뢰에 높은 관심을 보였다. 끝으로 제3유형은 일반적인 사회이슈에 관심이 많으며 저비용 항공사에 대한 긍정적 태도도 있는 반면 안전성을 고려하여 적극적인 이용에 심리적 제약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연구는 본 연구에서 도출한 시장세분화를 확장하여 심층 인터뷰 및 사례연구 등 보다 자세한 정성적 연구가 필요하다.


Low-cost carrier(LCC) airline business has been a market driver in the airline industry since it was first introduced into Korea several years ago. However, there has been only a few studies on LCC and their consumer types. Using the Q methodology, this study explored the consumer types of low-cost carrier. Particularly, this study was an attempt to draw key market segments of the LCC according to the users' consumption values and lifestyles. 23 Q samples were extracted from in-depth interviews with LCC professionals, publics and students and 20 people were selected to classify the Q samples. Results showed that their were 3 key consumer segments of LCC. The first market was price sensitive heavy internet users and the second market was time sensitive professionals. The last market was safety sensitive conservative tourists. Implic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also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