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부부갈등과 여가 경험의 관계에 대한 다양한 패턴이 성차와 성격차에 따라 어떻게 다양하게 나타나는지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특히 여가정체성의 개념을 주요 성격 개념으로 간주하여 그것의 조절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종속변수로 다룬 여가경험의 심리적 의미는 4가지 차원으로 구분하였고 각각 해방감, 일탈, 저항, 그리고 조화추구를 고려하였다. 모두 5가지 가설을 설정하였으며, 한국인 성인 1,073명을 전국단위로 표집하였고, 남녀 각각543명과 530명이다. 분석결과, 5가지 가설은 대체적으로 지지되었다. 그리고 부부갈등이 각각의 여가경험 차원에 미치는 영향은 성별과 여가정체성의 수준에 따라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즉 성별과 여가정체성이 부부갈등과 여가경험의 관계를 조절하는 효과가 유의하였다. 남편에 비하여 아내들의 경우 부부갈등이 클수록 더 위험한 여가경험을 추구하는 경향이 나타났고, 이러한 경향은 여가정체성이 강할수록 줄어드는 현상이 확인되었다. 결론에서는 본 연구 결과의 시사점과 향후 연구 방향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plore diverse relational patterns between marital discords and perceived leisure experience. In particular, it focused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gender and leisure identity which works between the variables as a personality . As dependent variables, marital discords driven psychological leisure experiences were conceptualized in terms of four dimensions: escape, deviation, resistance, and harmony-seeking. Based on a review of related literature five research hypotheses were developed and all five hypotheses were empirically tested using the survey data from 1,073 Korean sample(i.e., husbands 543 Vs. wives 530). Results empirically supported all the five hypotheses. More specifically, results showed that the effects of marital discords on perceived leisure experience were significantly moderated by sex and leisure identity. It was also found that wives seek for more hazardous leisure experience than husbands do, when marital discords increased. But the possibility was lessened as leisure identity strengthened. The conclusion included limitation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discussions, and future research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