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해설사의 능력, 즉 공급자의 측면에서 관광자원해설의 적정 수용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해설사 7인과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해설집단의 규모가 클 경우 해설사는 해설내용 축소, 해설시간 단축, 일방적인 해설진행 등의 해설행태를 보였다. 또한 소음유발, 인원통솔 미흡, 미아발생 등의 부정적인 영향들이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해설집단의 적정규모는 15명 정도로 나타났다. 15명 정도의 해설집단 규모는 해설사와 관광객이 서로 눈 맞춤하면서 상호작용을 하거나 해설을 충분히 할 수 있는 규모로 파악되었다. 한편, 어린이를 위한 해설집단 규모는 6~8명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해설집단 규모에 따른 해설행태와 영향, 그리고 관광객과 해설자가 서로 의사소통이 가능한 양질의 해설서비스를 위해 필요한 해설서비스의 적정 수용력을 논의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관광자원해설은 해설의 적정수용 규모에 바탕을 둔 관광객과 해설자 사이의 해설의 질과 의사소통을 증진시킬 수 있는 새로운 접근과 시스템이 시급하다는 것은 함축하고 있다.


This study explores the optimal capacity size and it’s impacts from the provider side of tourism resources interpretation.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in-depth interviews with seven cultural tourism interpreters of three national heritage tourism sites in Korea. The results show that the interpreter's explication behavior was collapse of the interpretation contents, shortening of interpretation time, one-sided interpretation progress. Also, it had appeared a negative impact to the noise-induced, a lack of leadership, occurrence of missing children, and optimal interpretation of evidence from this study group of size 15 patients was enough. The interpreter's and tourists' eye contact while the size group of about 15 of the interpretation was to identify the size of the interaction, or can do enough interpretation. In the case of children group, the effective interpretation size was 6 to 8 children. The findings imply that the tourism resources interpretation is urgently needed a new approach and system to improve interpretation quality and communication between tourists and interpreters based on the optimal capacity size of interpret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