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Q방법론을 적용하여 부산의 대표적 문화관광지 감천문화마을에 대한 방문객들의 주관적 인식을 분석한 것이다. 분석 결과를 해석함에 있어서 신뢰성을 높이고자 두 가지 차별적인 방법을 사용하였다. 첫째, 방문을 결정할 때 고려한 여행목적의 중심성과 경험의 깊이를 분석의 틀로 삼았다. 둘째, 방문동기 및 경험의 과잉추정이나 추정결과의 인위적 할당과 같은 방법상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내용분석법에서 보편화된 신뢰도 계수를 적용하였다. 진술문은 감천문화마을에 관한 인터넷 기사의 댓글, 네이버 블로그, 트립어드바이저에 표출한 방문객들의 다양한 의견을 토대로 추출하였다. 방문객들의 주관성을 분석한 결과 일상적, 일시적, 우발적, 우연적 문화관광객 요인이 도출되었다. 감천문화마을은 대체로 겸목적 관광의 형태로 친구, 연인, 가족 등 동반자와 함께 방문하는 장소로 인식되고 있으며, 재미와 오락적 요소가 이 마을의 매력으로 부각시켜야 함을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네 가지 요인은 선행연구와 구분되는 감천문화마을만의 독특한 특징인 것으로 판단하였다. 아울러 감천문화마을이라는 관광목적지 또는 장소가 소구해야 할 잠재적 시장에 대한 통찰력을 얻을 수 있는 실무적 시사점도 제시하였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and interpret the visitors’ subjective perceptions of Gamcheon Culture Village using Q methodology. Two discriminative methods were applied to increase reliability when interpreting the analysis results. First, centrality of trip purpose and depth of experience were used as a frame for the analysis of the visitors’ subjectivity. Second, in content analysis, a generalized reliability coefficient was applied to solve methodological problems such as the overestimation of the visitors’ motivation and experience, and the discretionary allocation of the estimates. Stated questionnaires were selected from various visitor reply opinions to the online articles, Naver blogs and Trip advisors related to the village. Four different factors of subjective perceptions - sightseeing, casual, serendipitous and incidental cultural tourists - were foun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village is perceived as a multipurpose tourism place for friends, couples and family to visit. Also, factors such as pleasure and recreation were related to the attractiveness of the village, and therefore should be emphasized. Consequently, the identified four visitor factors were the characteristics peculiar to the village. Finally, several managerial implications that should be appealing to potential visitors to be done by the manager of the village were sugges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