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This paper critically reviews the concept of 'existential authenticity' in tourism. The origin and condition of 'existential authenticity' in philosophy and sociology has been explored to have better understanding of how it has been developed before applying it to tourism study. We find that discussion on 'existential authenticity' in tourism is lacking a philosophical framework, which creates mystification and idealization of tourism experiences, excessively stressing a diversional effect of the tourism experience. This paper concludes that if existential authenticity in tourism becomes a valuable theory of discourse, it is necessary for a more sophisticated and elaborated theoretical framework to be constructed on how, in particular, the 'inauthentic-self' transforms into the 'authentic-self'. Further investigation is needed into what is the in-depth structure of the 'internal human self', and how this condition engages within the realm of 'placeness'.


본 연구에서는 관광에서 진정성에 대한 개념을 살펴보고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실존적 진정성에 대해서 검토하였다. 철학, 사회학에서 발전한 이 진정성은 관광분야에서 초기에는 관광객이 경험하는 진품으로서 대상물에 대한 객관적 진정성으로부터 촉발되어 최근에 관광객의 주관적 혹은 상호주관적으로 느끼는 실존적 진정성의 개념으로 까지 확대되고 있다. 기존의 관광에서 진정성의 논의는 소외된 인간이 탈일상적인 상황에서 자신이 진정한 삶을 찾는 혹은 기존의 일상적 환경에 순응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진정한 자기 찾기의 한 표현으로 논의되었고, 그런 논의가 진정한 삶에 대한 개인의 주체적 선택과 판단을 강조한 실존주의적 분위기 속에서 더욱 숙성되고 이론화 될 수 있었다. 관광에서의 실존적 진정성에 대한 논의가 보다 중요한 함의를 가지는 것은 관광을 통해서 체득하는 실존적 진정성에서 실존적 자아의 내면구조가 무엇인지 그리고 어떻게 형성되고 있는지에 대해서 몰이해로 인해서 자칫 관광경험이 신비화 또는 우상화될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관광의 탈일상적 환기효과 만을 중심으로 놓고 실존적 진정성의 경험을 설명하기에는 그 내면적 자아의 구조와 조건 등에 대해서 이론적 타당성이 확보가 전제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관광대상물을 미시적 기물 혹은 상품, 이벤트 차원에서 바라보는 것이 아니라 개별 대상물의 합으로 장소성의 관점에서 바라봄으로써 관광대상과 관광객의 불가분성, 상호주관성 측면에서 실존적 진정성을 보다 정교하고 세련되게 이론화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실존적 진정성의 이론적 잠재성은 현대 사회가 부과하는 과도한 스트레스로부터 벗어나려는 최근의 문명사적 흐름인 참살이, 치유, 영성, 느림 등의 개인적 사회적 욕구를, 진정한 자아 혹은 공동체 찾기 차원에서 ‘가치관광’과 ‘의미관광’ 이라는 학문적 범주로 새롭게 이론화시킬 수 있고 그로 인해 관광현상의 개인 및 사회적 정당성을 확보하는데 기여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