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항공사 객실승무원을 대상으로 직무특성이 심리경험에 미치는 영향과 심리경험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심리경험이 직무특성과 직무만족과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는지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실증연구를 위한 조사대상은 한국의 대형 항공사 2곳의 객실승무원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특성 요인(기술다양성, 과업정체성, 과업중요성, 자율성, 피드백) 중에서 과업중요성은 의미감에, 피드백은 결과인식에, 과업고유성은 이탈감에 정(+)의 유의한 영향관계가 있고, 과업고유성이 의미감에는 부(-)의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심리경험 요인(의미감, 책임감, 결과인식, 이탈감) 중에서 의미감, 책임감, 결과인식은 직무만족과 정(+)의 유의한 영향관계가 있고, 이탈감은 직무만족에 부(-)의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심리경험 요인 중에서 책임감을 제외한 나머지 요인들(의미감, 결과인식, 이탈감)은 직무특성과 직무만족과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직무설계에 필요한 이론적 및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effect of the job characteristics of flight attendants on psychological states and job satisfaction, and to find out the intermediary role of psychological experience. For data collection, self-administered questions were used targeting flight attendants of major airlines in Korea. The results of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job characteristic factors, task significance, feedback and task identity had positive effect on experienced meaningfulness, experienced responsibility and experienced disengagement respectively, and task identity had a negative effect on experienced meaningfulness. Second, among psychological experiencing factors, experienced meaningfulness, experienced responsibility, and knowledge of actual results had a positive effects on job satisfaction, and experienced disengagement had a nega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Third, among the psychological experiencing factors, factors other than experienced responsibility had a mediating effect with job characteristic and job satisfa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