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직무 요구, 직무 자원, 그리고 직무 열의에 관한 지속적인 관심에도 불구하고, 커피 산업에서 비정규직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하며 동시에 성별 간에 차이를 밝혀내는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비정규직 종사자들의 직무 요구와 직무 자원이 직무 열의에 미치는 영향을 밝혀내고, 성별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시행되었다. 구조 모형의 결과는 직무 요구 중 한 요소인 업무 과부하와 직무 자원의 요소인 사회적 지원, 피드백, 자기개발 기회가 직무 열의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게다가 조절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동일성 검증을 시행한 결과, 모든 직무 요구 요소들, 즉 업무 과부하, 감정 요구, 직장 가정 갈등과 직무 열의 사이에서 성별이 유의미한 조절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의 경우 업무 과부하와 직장 가정 갈등은 직무 열의에 유의미한 부의 영향을 미치고 감정 요구는 직무 열의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반면, 남성은 감정 요구가 직무 열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업무 과부하와 직장 가정 갈등은 직무 열의에 유의한 영향을 보이지 않았다. 직무 자원과 직무 열의 사이에서는 성별이 조절 역할을 하지 못하는 결과를 보였다. 결론에서는 실무적인 시사점과 이론적인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Despite of the consistent attention to the relationship among job demands, job resources, and job engagement, the research targeting casual workers and their distinctions depending on gender was scarce in the coffee industry.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casual workers' job demands, job resources, and job engagement and the moderating role of gender in the coffee industry. The results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dicated that one of the factors of the job demands (i.e., work overload), and factors of job resources, except for job autonomy (i.e., social support, feedback, and opportunities for self-developmen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job engagement. Furthermore, the invariance test showed that gender played a significant moderating role between all factors of job demands and job engagement. However, there was no moderating effect of gender between job resources and job engagement. Implications for academia and management are also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