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현대인들은 물질적 만족보다도 정신적 만족을 충족 시켜 줄 수 있는 예술 및 문화적 요소에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본 연구는 개인이 구체적으로 어떤 힐링 욕구를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욕구 충족을 위해 어떤 문화 마케팅 활동에 대해 얼마나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파악하고자 한다. 본 조사는 2014년 2월 1일부터 한 달간 서울역, 용산역, 수원역 세 곳에서 성인 남녀 253명을 편의표본추출하였다. 연구의 결과, 힐링 요구(자아 존중감, 자기 통제감, 자아 효능감)은 문화 마케팅 다양성과 문화 마케팅 전략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아가 힐링에 대한 욕구가 높은 사람일수록 기업의 문화 마케팅 활동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대인에게 있어 호텔, 외식 기업의 문화 마케팅 활동은 마케팅 차원에서도 매우 전략적 활동이 될 수 있음을 암시하고 있다. 그 이유는 현대인들에게 있어 힐링 개념이 매우 중요하게 다가가고 있기 때문이다.


The present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what needs for healing individuals have concretely, and how they significantly perceive of culture marketing in meeting their healing needs. Data were collected by using a convenience sampling method in three stations of Seoul, Yongsan, and Suwon. For a period of a month from February 1st, 2014, a total of 253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customers familiar with the concepts of healing needs and culture marketing in the hotel and restaurant industry. A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used to analyze data. The results revealed that healing needs, which consist of self-esteem, self-control, and self-efficacy, had significant impacts on culture marketing(variety of culture marketing and culture marketing strategy). Practical implications were suggested based on these resul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