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프랜차이즈형 한식당 이용 고객들의 이용행태 및 선택속성이 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파악하는 것이다. 연구의 자료는 대구‧경북지역의 프랜차이즈형 한식당인 ㈜놀부, 원앤원(주) 등을 이용한 경험이 있는 20세 이상 소비자를 대상으로 하여, 249명으로부터 받은 설문지에 의해 수집되었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세분시장별로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 성별, 결혼여부, 교육수준, 월평균 소득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세분시장별로 한식당 이용행태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 외식목적, 월평균 외식횟수, 1인당 1회 외식비용, 정보원천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세분시장별로 한식당 선택속성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 청결성, 접근성, 음식의 맛과 품질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결과는 라이프스타일이 유형에 따라 이용행태나 선택속성 등에 차이를 보이고 있어 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른 소비자 지향적인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differences of Korean restaurant customer’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user behavior and selective attribution by lifestyle type. The summary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Hypothesis1 analysis of this research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by lifestyle typ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gender(p=.045<.05), marital status(p=.009<.01), education(p=.000<.001) and income(p=.037<.05). Second, Hypothesis2 analysis of this research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Korean food use behavior by lifestyle typ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urpose of dining out(p=.014<.05), monthly averages number of dining out (p=.045<.05), average expenses per 1 person(p=.003<.01) and source of information(p=.037<.05). Third, Hypothesis3 analysis of this research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elective attribution by lifestyle typ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aste and quality of food(p=.000<.001), cleanness(p=.000<.001) and accessibility(p=.018<.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