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재욱은 1931년 졸업논문「영남민요연구」로 경성제국대학 법문학부 조선어문학과를 제3회로 졸업한, 제도적으로는 최초의 민요 전공자이다. 또한 1929년 경성제국대학 법문학부 주관의 전국민요조사 때의 과학적 조사방법을 적용해 1930년 영남 30개 군의 민요를 조사하여 『영남전래민요집』을 남겼다. 이 자료집을 통해 민속적 전승체가 대체로 유지되었던 1920년대의 대표적인 영남의 민요와 아리랑 상황을 파악할 수 있다. 즉, 곡명이나 후렴에서 ‘아르랑’, ‘어러렁’, ‘어리랑’, ‘아랑렁’ 등으로 나타나고 있어 1930년 전후에는 ‘아리랑’으로의 단일화가 이뤄지지 않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1930년에도 <정선진아랑렁이>을 수록하여 곡명에 ‘정선’의 지역명을 특화하여 사용하였고, 진’(긴)과 ‘자진’으로 구분하여 불렸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문경새재아리랑>의 경우, 영남지역의 논농사 일노래로도 수용되어 불렸음을 알 수 있다. 이것은 영남 지역의 아리랑 상황 뿐 아니라 동시대 아리랑 전체의 상황에서도 의미가 있는 논점인 것이다. 본 논문은 <문경새재아리랑>의 위상을 확인하고자 심층적으로 학술적 접근을 시도한 것이다. 이 과정에서 최초의 아리랑악보인 1896년 헐버트가 채보한 ‘아라렁’(Ararung)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고, <본조아리랑>․<진도아리랑> 등에도 영향을 주므로 근대아리랑의 시작이 <문경새재아리랑>부터 임을 확인 했다. 특히 <문경새재아리랑>의 형성시기와 배경, 그리고 동시대 다른 아리랑과의 관계 등을 통해 민요사적 가치를 드러내고자 하였다. 또한 음악적으로 접근하고자 선율분석을 했다. 이 번 연구는 근대아리랑의 출발점인 <문경새재아리랑>의 민요사적 의미와 위상을 학문적 접근, 그리고 <문경새재아리랑>의 음악적 연구를 통해 <문경새재아리랑>의 가치에 대해 심화된 연구에 기여하는데 목적이 있다.


Lee Jae-Uk is the first Korean folksongs-majored student in official administrative system. He was the third graduate of Keijo Imperial University studying Chosun linguistics major, law department. He wrote <Yeongnam Traditional folksongs Collection> by using scientific survey method during National folksongs Survey held by law department of Keijo Imperial University in 1929. Thanks to this book, Yeongnam folksongs and Arirang, the representatives of 1920s when the ethnic antiquities were mostly reserved, could be studied. Its title and chorus varied as ‘Arrang,’ ‘Ururung,’ ‘Urirang,’ ‘Arangrung,’ etc., which indicates that it was not unified to ‘Arirang’ yet in 1930. Jeongsunjin Arangrung added in 1930 revealed the specific place name ‘Jeongsun’ in the title of song. Also, Munkyeongsaejae Arirang showed that it was sung during rice farming in Munkyeong area. It is very meaningful not only in studying the state of Yeongnam area Arirang but also the entire contemporary Arirang. This paper attempted to confirm an academic reputation of Munkyeongsaejae Arirang in depth. In the process, it was found that Munkyeongsaejae Arirang affected directly to Ararung written on sheet music by Hulbert in 1896, the first sheet music of Arirang, and consequently influenced to Bonjo Arirang and JIndo Arirang as well. The fact confirms that Munkyeongsaejae Arirang was the start of modern Arirangs. Particularly, this study was focused on highlighting its value through the composition time, background and relations with other Arirangs at that time, analyzing the melody to understand it from a perspective of music. This research aims to academically appreciate the meaning and reputation of Munkyeongsaejae Arirang in folksongs history. Also, it attempts to contribute to more intensive study on its values through musical analy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