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근대시의 형성 과정에 대하여 전통 시가와의 관련을 따질 때에 육당 최남선의 시작들이 문제의 시발로 다루어져 왔다. 육당 이전의 애국계몽 시가들이 한 단계 앞선 시가사의 위치를 점하지만, 애국계몽 시가들은 신문 매체의 편집자들이 무기명으로 전재한 작품들로부터 출발하여 양식 공유의 방식으로 집단서정의 모습을 유지하였다. 반면, 잡지로 전재의 장소를 옮긴 육당의 시가들은 애국계몽의 주지는 남아있지만 매체의 성격상, 작자성이 부각될 수 밖에 없었고 자연히 개인서정으로의 변환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집단서정에서 개인서정으로 건너가는 과정은 일회적인 단순 계기에 의하지는 않고, 정형률과 자유률, 계몽의지와 심미완상 사이의 긴장에 의한 동요 가운데 이루어졌다. 육당의 시작 경로를 보면 시가사의 전통과 개신 사이에서 방황을 노정하다가 결국은 전통에 귀의하는 전체 진로로 파악되지만, 실제 작품을 통하여 추정해 보면 이 경로는 직선형의 진전만이 아니라, 진전과 퇴행을 반복하는 나선형 발전으로 드러난다. 그리고, 이 경로는 육당 개인적인 산물이 아니라 시가사 발전과 교호하는 관련 가운데 이루어 진 것임도 알 수 있다. 번역이나 한시와의 관련 같은 문제가 남게 되는 까닭이 이러한 중충적인 발전 경로 추적을 충족하기 위함 때문이다.


Choi Nam-Sun was a leader at the starting period of Korean modern poetry. He published the first Korean magazine, Sohnyun. He was not only the publisher and the editor, but also the writer of that magazine. He wrote many works of Korean poetry. Many of them belonged to traditional Korean poetic genres, and the rest of them to modern new genres. His career of poet had moved between the leader and the artist of the new age. He had started as a leader of new ideas of enlightment, and he had changed to the aesthetic author. In that course he had used several modes of poetry, traditional or renewed. That modes had not developed on the lineal course but on the spiral course. And that development was the result of the interchange between Choi Nam-Sun’s individual endeavor and the progress of modern Korean history of poet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