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효행-포상’형 문헌설화란 조정에서 효행이 돈독한 효자를 포상한다고 하는 문헌설화이다. 이 문헌설화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지니고 있다. 화자와 인물의 거리에 따라 逸話나 口傳의 성격이 강해진다는 점, 기록자가 割股, 嘗糞, 吮腫 모티프를 반영하지 않으려 한다는 점, 포상 대상자가 전부 상층인이라는 점 등이 그것이다. 문헌설화의 효자는 義理的 性命의 소유자와 呪術的 感性의 소유자로 나타난다. 전자는 태생적으로 유교윤리에 적합한 인물이라 하고 후자는 천신이나 호랑이나 조상신과 소통하는 인물이라고 한다. 이런 효자들이 실제로 있다고 보기 어려운 바이니, 기록자가 ‘있어야 할 것’으로서의 효자를 형상화했다고 해야 옳다. 효자의 형상을 토대로 하여 기록자의 전승의식을 따져볼 수 있다. 기록자는 두 가지의 전승의식을 보여준다. 주인공의 脫人間性을 지향한다는 점과 ‘효행-포상’의 틀과 振幅에 대해 인식하고 있다는 점이 그것이다. 기록자는 매우 정치적이다. 효치의 차원에서 효자의 탈인간성을 강조하고 위정자의 가치관을 피력하는 데서 이 점이 드러난다.


The "filial behavior-reward"type literature tales tell stories of the royal court granting rewards to devoted sons that have performed profound filial acts. Those literature tales have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the nature of episode or oral transmission grows stronger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speaker and character; the chronicler tries not to reflect the motifs of cutting off a thigh, tasting feces, and sucking out the pus; and the awardees of rewards are all from the upper class. In the literature tales, devoted sons are depicted to possess a Confucian personality and shamanistic sentiment. The former are deemed to be fit for Confucian ethics originally, whereas the latter are deemed to communicate with the heavenly gods, tigers, and ancestor spirits. It is difficult to believe that those devoted sons actually existed, which means that the chroniclers must have embodied the devoted sons that "should have existed." Their consciousness of transmission can be examined based on the figurations of devoted sons. They display two types of transmission consciousness: they are oriented the de-human nature of protagonists and also aware of the framework and amplitude of "filial behavior-reward." The chroniclers were very political, which was demonstrated in their emphasizing the de-human nature of devoted sons and expressing the values of politicians at the level of governance based on the importance of filial pie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