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교육안전망의 구축이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이하 교복투) 지원사업의 핵심 과제라는 관점에서, 교복투 사업 7년차인 J 초등학교의 사례 분석을 통해 교육안전망의 특징 및 요건을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교복투 지원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J 초등학교의 지역사회 네트워크는 주로 사례관리를 위한 협력망으로서 기능하고 있다는 특징을 보여주었다. 그 가운데에서도 특히 공동 프로그램 운영이나 클라이언트 의뢰망으로서의 기능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교복투 사업의 지역사회 네트워크가 안착되면 핵심인력 중심의 협의체에서 공동사업을 진행할 수 있는 구조화된 네트워크로 발전해 나간다는 관련 선행연구의 결과와 부합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한편 본 연구에서는 실효성 있는 지역사회 네트워크 구조가 지녀야 할 요건을 파악하기 위한 작업의 일환으로 교복투 사업 관련 전문가들과의 면담을 실시하였다. 면담 결과, 지역사회 네트워크에서 중요한 것은 프로그램의 규모나 양보다는 그것이 아동의 위기 상황을 해결하는 동시에 그들의 필요를 충족시켜줄 수 있는 질적인 측면이라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아울러 지역사회 네트워크의 활성화는 궁극적으로 학교 안에 의사소통망이 형성되어 그것이 제대로 기능할 때 가능한 것으로 드러났다.


This study attempt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and requirements of education safety net through the case study of an elementary school,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central goal of Education Welfare Priority Zone Plan is to build a network-based educational support system in a community. The results show that the network-based educational support system in J elementary school primarily functions as a collaboration network for program co-management and client referral. This corresponds with findings of prior research, which show that once the community network is in place, it will develop into a structuralized network for carrying out mutual projects through agreement between its key members. Authors have also carried out qualitative analysis to understand the requirements of the effective support system in the school. According to results of in-depth interviews with related experts, what is important for a network-based educational support system in a community is not the amount, but the quality of programs offered by the system which can cope with risk situations of clients and meet their needs. In addition, it seems that the attainment of the support system's goal ultimately depends on whether a communication network is in place in the school, and if so, how well it func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