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커뮤니케이션이 교실학습의 결과를 결정한다는 기본가정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그리하여 교실학습을 매개하는 교실커뮤니케이션의 과정을 인식하는 하나의 틀로서의 여러 가지 ‘교실커뮤니케이션 모형’들을 탐구하고, 이를 기반으로 새로운 대안모형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커뮤니케이션 이론으로서, 커뮤니케이션을 ‘의도전달’로 보는 과정학파의 논리와, ‘의미형성’으로 보는 기호학적 관점을 주로 참조하여 교실학습과 커뮤니케이션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교실커뮤니케이션은 다양한 유형들로 나타나는데, 단선모형, 복선모형, 상호작용모형, 교류모형, 그리고 구성주의 모형이 그것이다. 단선모형은 교실학습을 애초의 교사의 의도를 관철시키는 것으로 보여주며, 복선모형은 그 과정에서 피드백을 적절하게 활용하는 양상을 강조한다. 상호작용모형은 상호작용과정에서 학생의 선택적 수용의 여지를 전제하며, 교류모형은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지는 상황맥락의 다양한 요인들을 매우 깊고 폭넓게 인정한다. 구성주의 모형은 교사로부터 출발하는 ‘의도’는 학생과 함께 고스란히 공유되는 것이 아니라 최종적으로 학생에 의해 선택되면서 비로소 커뮤니케이션이 성립하는 것으로 본다. 대안모형은 ‘학생들은 학교에서 실제로 무엇을 어떻게 배우는가?’라는 물음에 대한 답을 보여주려고 한다. 우리는 그 일을 앞의 여러 모형들에서 드러난 교실커뮤니케이션의 특성들을 통합함으로써 시도하였다.


This study is mainly based on the basic premise that classroom learning is determined by classroom communication. Then, we explored the classroom models as the frame of understanding the process of classroom communication, and aim to propose the alternative model. For this, first we referred to the communication theories of semiotic school and process school, and searched the relation of the classroom learning and classroom communication. As the result, there appeared many classroom communication models, which were one-way model, two-way model, interaction model, transaction model, and constructivism model. Through the one-way model, the classroom learning appeared as the process of achieving the teacher's original purpose. Two-way model emphasized the application of feedback during the communication process. Interaction model expected the capability of student's selective perception while teacher and students interact. Transaction model appreciated widely and deeply the various factors in the situation context which the classroom communication occurred. And constructivism model considered that the teacher's massage was not shamed with the students, but finally the students selected and then the classroom communication accomplished. As the alternative model, the synthesis model hoped to answer the question "What and how do the students learn practically in schooling?" We tried to synthesise the various factors which the former models have impli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