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현 정부는 학업성취도평가정책 대상을 표집에서 전집으로 확대하고, 그 성취결과를 시도교육청평가와 교장인사에 반영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이 연구는 학업성취도평가정책이 현장의 학교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를 중부지역에 있는 두 초등학교의 6학년 3개 학급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정부의 학업성취도평가 정책의 영향은 학교 간에 그리고 학급 간에 다소간에 차이를 보였으나, 두 학교 모두에서 정규수업시간은 물론 방과후지도를 통해서 부진한 학생 비율을 낮추기 위한 교사들의 관심과 부담은 높아졌다. 교사들의 관심과 부담은 학업성취도평가에 나올 수 있는 문제와 개념들을 학생들이 잘 기억하고 풀 수 있도록 주입식 교육과 문제풀이 형태의 강화로 이어졌다. 이에 반해 창의력 함양이나 심화 수업을 위한 교사의 연구노력과 생활지도 등에 쏟는 관심은 줄었다. 이 연구 결과는 경쟁을 통한 학교교육의 질 제고와 학력격차 해소라는 현 학업성취도평가정책이 소기의 목표를 달성하기에는 분명한 한계가 있음을 강하게 시사한다.


Recently, the South Korean government expanded Student Assessment Policy to the entire student population, and announced a plan to use assessment results for the evaluation of local education offices as well as personnel management of school principals. Yet little is known about how the implementation of Student Assessment Policy shapes educational practices in individual schools. In this study, the authors address this lack of research by investigating the impact of Student Assessment Policy on school sites using ethnographic data for 6th grade students from two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central Korea. Results show between- and within- school variation in the impact of Student Assessment Policy. In both of the schools, however, teachers’ concerns about and burdens of lowering rates of students who do not meet the minimum level of achievement through a regular class as well as after-school programs increased, which in turn led to the enhancement of a cramming-based, memorization approach to instruction. In contrast, teachers’ efforts to facilitate students’ creativity decreased. Findings suggest that Student Assessment Policy may likely fail to achieve its intended goals of improving quality of school education and bridging the achievement ga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