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성취목표지향과 5가지 성격특성, 내-외적 동기,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를 검증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 대구와 경북에 소재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392명(남자는 126명, 여자는 266명)이 연구대상자로 선정되었다. 자료처리는 회귀분석, 상관분석, 경로분석이 실시되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5가지 성격특성의 대부분과 2X2 성취목표지향은 유의한 상관이 있었다. 둘째, 성격특성과 숙달접근의 경로에서 내적동기가 매개변인으로 작용하였고, 성격특성과 수행접근의 경로에서 외적 동기가 매개변인으로 작용하였다. 성격특성과 숙달회피 혹은 수행회피의 경로는 모두 자기 효능감이 매개변인으로 작용하였다. 본 결과를 통해 성실성과 내적동기가 숙달접근을 예언하는 의미 있는 변인이며, 외적 동기는 수행접근을 예측하는 변인이었다. 또한 숙달회피와 수행회피는 유사한 경로를 보임이 밝혀졌다. 앞으로 성취목표지향을 중심으로 학습자들의 학습동기를 높일 수 있는 방안들이 계획되었으면 한다.


This study examined the causal relationships among 2×2 goal orientation, Big Five, self-efficacy, and intrinsic-extrinsic motiva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92(male 126, female 266) undergraduate students who attending university in Daegu and Kyungpook. The data were processed b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Pearson’s product correlation, and path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Big Five and 2X2 goal orientation. Second, intrinsic motivation was mediator variable through personality to mastery-approach goal. The extrinsic motivation was mediator variable through personality to performance-approach. The self-efficacy was mediator variable through personality to mastery-avoidance and performance-avoidance goal. As a result, this study founded that conscientiousness and intrinsic motivation were meaningful contributor to predict mastery-approach goal, and extrinsic motivation was significant contributor to predict performance-approach. Mastery-avoidance and performance-avoidance goal were similar path way. The following study would be planned to improve learning motivation based on goal orient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