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학교 다문화교육의 성격 및 목표 체계화를 위해 한국의 특수성이 반영된 성격과 목표 규정에 초점을 둔 것이다. 그 동안 다문화교육은 성격과 목표 규정은 제쳐둔 채 교육내용 및 지도방법 탐색에만 매달려 결국 학교 현장의 다문화교육이 혼란에 빠지는 결과가 초래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교과교육학의 이론을 활용하여 학교 다문화교육의 성격과 목표를 규정하고자 하였다. 우선 교과교육학의 이론을 활용하여 교과교육학적 체계화의 기본 방향을 설정한 후 이에 따라 체계화 모형을 정립하였다. 본격적인 학교 다문화교육의 성격과 목표 규정을 위해 크게 세 가지 방향에서 연구를 전개하였다. 첫째, 다문화교육의 성격 및 목표 규정을 위해 다문화교육의 정당화 논의를 전개하고, 다문화교육의 이론적 개념 속에서 민주시민 의식, 간문화 의식, 통일 의식 등 세 가지 가치 정향을 교육이념의 대용 개념으로 추출하였다. 이는 성격 및 목표 규정에 있어 방향타로 작용하는 매우 중요한 기능으로 작동되었다. 둘째, 다문화교육의 성격 규정 시 고려 사항을 검토한 후 다문화교육의 성격을 진술하였다. 셋째, 다문화교육의 목표 규정을 위해 목표 설정 시 고려 사항을 검토하고, 현재까지 국내외 학자 및 정부 차원에서 국내에 소개한 다문화교육의 목표를 분석한 후 다문화교육의 목표를 총론 목표와 하위 목표, 실천 과제로 구분하여 체계적으로 진술하였다. 본 연구를 토대로 향후 교수․학습내용 및 방법, 평가 체계화가 지속되어 다문화교육론 체계화의 완성을 기대해 본다.


This study focused on the Korean nature and objectives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school for its systematization based on curriculum theories by utilizing the achievements of subject education science. The investigator first set the basic directions for its systematization based on subject education science and built a systematization model by using theories about subject education science. Research was carried forward in three major directions to define the nature and objectives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school: first, the legitimate need for multicultural education was discussed to define the nature and objectives of multicultural education; second, the nature of multicultural education was discussed after reviewing what should be considered when defining its nature; and finally, the objectives of multicultural education were specifically stated after reviewing what should be considered when setting the goals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analyzing those introduced in the nation. The study results will hopefully lead to ongoing efforts for teaching and learning content and methods and systematization of evaluation and further to the completion of systematiza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theor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