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에서는 청소년기의 학습된 무기력 현상에 관한 주요 이론과 선행연구를 고찰하였다. 먼저 학습된 무기력에 관한 대표적 정의와 이론을 고찰하고, 학습된 무기력의 원인을 반응-결과 독립성 기대의 획득, 안정적·포괄적·내부적 실패 귀인, 암묵적 지능실체이론과 조건부 자기가치의 형성의 세 가지로 구분하여 설명하였다. 또한 학습된 무기력의 특징과 발달 양상을 소개하였다. 한국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연구를 분석한 결과, 학업 저성취 집단의 다수 청소년이 부적응적 학습동기와 함께 장기적으로 학습된 무기력에 빠질 위험이 있다는 추론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현상의 원인 중 한국 특유의 요인으로 가족주의, 학력주의 등의 사회·문화적 요인과, 극심한 경쟁, 성취압력 등 학습환경 관련 요인에 관해 고찰하였다. 끝으로, 학습된 무기력을 감소시켰다고 보고한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효과적인 학습된 무기력 방지 및 억제 프로그램에 관해 조사하였으며, 결론적으로 귀인 재훈련 제공, 지능증진이론 교육과 숙달목표 강조, 사회적 지지와 실패내성 강화를 교실에서의 학습된 무기력 억제 방안으로 제시하였다.


We surveyed existing research on learned helplessness. We first reviewed the definitions and theories of learned helplessness, along with explanations on the hypothesized mechanisms responsible for its occurrence such as response-outcome non-contingency, failure attributions to stable, global, and internal causes, and entity theory of intelligence and conditional self-worth. Representative indexes and characteristics of learned helplessness were then introduced. On the basis of theoretical analyses and available empirical evidence, we inferred that a sizable number of Korean adolescents may end up suffering from maladaptive motivational beliefs and learned helplessness in the long run. We attributed the phenomena to sociocultural factors such as strong familism and academic elitism as well to learning environment-related factors such as extreme competition and achievement pressure. Finally, we recommended provision of attribution retraining, focus on incremental theory of intelligence and mastery goals, and increased social support and failure tolerance as effective means to reduce learned helplessness in the classro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