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에서는 한국청소년패널조사의 2차년도부터 5차년도까지의 자료를 토대로 가족구조가 교육에 미치는 영향 중 아이들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 변인들의 매개경로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가족구조가 단독으로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기보다는 월가구소득이나 월사교육비와 같은 가족경제 수준과 결합하여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년이 올라갈수록 가족 내 관계만큼 교사와의 관계도 매개변인으로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일관되게 강한 영향을 미치는 매개변인은 자기효능감으로 나타났다. 가족구조와 가족경제 수준이 결합되어 아이들의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고려할 때 교육취약계층을 대상으로 교육복지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필요가 있다. 또한, 학년이 올라갈수록 교사와의 관계가 중요해지고, 자기효능감이 지속적으로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할 때 학교의 돌봄 기능을 강화하는 정책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이렇게 볼 때, 가족구조의 변화를 겪는 아이들의 교육생애에 대한 종단적 연구도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how family structure affects academic achievement by analyzing 'Korea Youth Panel Dataset' from Year Two through Year Five. We conducted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s well as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e found that family structure affects academic achievement in combination with monthly family income or monthly tutoring expenditure. As the student’s grade gets higher, relationship with school teachers as a mediation variable affects academic achievement as much as relationship with family members does. The most strong mediation variable is the student’s self-efficacy. As family structure combining with family economic status affects academic achievement, it is needed to strengthen the educational welfare policy for the low-income families. Also, child and youth care function of the school should be fortified to build up the student’s self-efficacy and positive relationship with teachers. Further researches are needed that explore an educational life history of students who have experienced family structural chan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