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의 목적은 「도덕경」 48장 “위학일익 위도일손”(爲學日益 爲道日損)에 나오는 위학과 위도의 관계를 고찰함으로써 학교에서 일반적으로 이루어지는 ‘지식을 가르치고 배우는 활동’이 인간의 삶에서 어떤 의미를 가지는가를 밝히는 데 있다. 위학과 위도의 관계는 크게 두 가지 관점에서 파악될 수 있다. 하나는 양자를 별개의 활동으로 파악하는 것이며, 다른 하나는 양자를 동일한 활동의 상이한 측면으로 파악하는 것이다. 양자를 전자의 관점에서 파악하는 것은 도가 만물과는 전혀 다른 차원의 존재라는 점에 기인한다. 이 경우에 지식은 일상의 문제를 해결하는 수단으로 파악된다. 양자를 후자의 관점에서 파악하는 것은 도가 만물로 표현된다는 점에 기인한다. 이 경우에 지식은, 비록 성공하기 쉽지는 않다고 하더라도, 심성을 함양하는 데 그 의미가 있는 것으로 된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clarify the meaning of education through analyzing the relation between 'Doing-Learning'(爲學, wei hsüeh) and 'Doing-Tao'(爲道, wei tao) in Lao-tzu's Tao-te-ching. The nature of education can be understood in two ways in accordance with two interpretations of the relation between Doing-Learning and Doing-Tao. The one is that Doing-Learning and Doing-Tao are contrary to each other, the other is they are different aspects of same activity. But first interpretation entails a serious problem. If Doing-Learning and Doing-Tao were contrary to each other, the state of 'Non-Knowledge'(無知, wu chih), which is synonymous in Tao-te-ching to Tao, supposedly attained by Doing-Tao, would be opposed to the state of 'knowledge'(知, chih) attained by Doing-Learning. In this case, the state of Non-knowledge indicates mere ignorance or lack of knowledge, and Doing-Tao is nothing but pursuing the ignorance. To avoid this absurdity, we must interpret Tao as the 'logical cause' of Things. Tao constitutes the logical presupposition of Things, and is not manifested in itself but through Things. However, Things as manifestations of Tao can stand in relation to man only by being designated in words and formulated in knowledge. Thus learning knowledge is the only legitimate way to Tao. In other words, 'Doing-Learning' is nothing other than 'Doing-Ta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