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그동안 한국의 교육(학) 연구물들은 양적인 면에서 괄목할 만한 성장을 이루어왔다. 그러나 그에 상응하는 질적인 면의 성장이 있었는지 반문해볼 때 선뜻 긍정적인 답을 내놓기는 어려운 것 같다. 이 연구는 현재의 교육연구가 직면한 여러 위기들과 그 원인을 진단하고, 그것을 극복할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는 시도에서 수행되었다. 그것의 일환으로 이 연구는 영국의 실천적 교육학자로 알려져 있는 Richard Pring이 제기한 “교육적 연구(educational research)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주목하여 실천 교육학의 관점에서 교육연구의 성격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교육연구의 성격을 이론과 실천의 관계 속에서 탐색하였던 교육철학 내의 유명한 논쟁들을 소개하고, 이러한 논쟁의 맥락 속에서 교육연구가 지향해야 할 성격을 Pring이 제안한 세 가지 핵심개념을 중심으로 재구성하여 살펴보았다. 이상의 논의를 바탕으로 결론부분에서는 앞으로 실천적 교육연구가 지향해야 할 성격과 과제에 대하여 간단하게 제언하였다.


Educational Research in Korea as a whole has greatly grown in terms of its quantity in publication for the last 50 years. But it is not easy to say that the same thing can be said of the quality of the productions, given the ever-increasing tendency of the fragmentation among the sub-fields of studies in education and the often criticized irrelevance of research productions to the educational practice in Korea. This paper aims to diagnose the current disciplinary crisis that are internal to educational research per se, and to seek a better possibility to do educational research in coping with them. In doing it, it attempts to draw upon the practical philosophy of educational research as proposed by Richard Pring, a contemporary British philosopher of education, who deeply explored the nature and method of educational research, especially in terms of the kind of knowledge it produces which can be described as inherently ‘educational', not reducible to the kind of knowledge in social science. This paper consists of three parts addressing three interrelated issues: recent philosophical controvers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ory and practice in educational research, three distinctive features inherent to educational research as characterized by Pring, and lastly, the nature and role of educational research in the future that so-called “practical philosophy of educational studies" can redefine and specif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