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방송통신고등학교 창의적 체험활동이 일반 고등학교와는 다른 방송통신고등학교의 특수성과 창의적 체험활동의 본질적 특성에 부합하도록 운영하기 위한 목적에서 출발하였다. 이에 방송통신고등학교의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 현황 및 제한점, 방송통신고등학교의 교사 및 학생들의 요구를 조사 및 분석하여 창의적 체험활동의 기본 방향과 구체적인 운영 방안을 제시하고, 방송통신고등학교의 창의적 체험활동 내실화 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 문헌 분석, 현황 분석, 요구 설문조사 및 면담조사, 전문가협의회 및 토론회 등의 연구방법을 적용하였다. 기초 자료를 토대로 방송고 창의적 체험활동을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전문가 협의를 통해 도출하였고, 그 방안들을 방송고 교사들에게 제시하고 의견을 수렴하였다. 이를 기초로 하여 방송고 창의적 체험활동의 내실화 방안을 구성하였고, 정책 토론회를 통해서 내실화 방안에 대해 검토를 받았다. 이 결과 최종적으로 방송통신고등학교 창의적 체험활동의 내실화를 위해서 다음의 세 가지 운영 방안이 도출되었다. 첫째, 일반 고등학교와 다른 방송통신고등학교 수요자의 요구가 반영된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 시수 편성 모형을 구성하였다. 둘째, 방송통신고등학교 창의적 체험활동은 직접적인 체험과 함께 온라인 콘텐츠를 활용하는 운영 형태로 개선해야 한다. 셋째, 방송통신고등학교 창의적 체험활동 신규제도의 도입(학생들의 외부활동 창‧체 인정방안)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교원연수를 통한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에 있어 전문성을 갖춘 인적 자원이 확보되어야 한다.


This study proposed the basic direction and management plan of the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es for open secondary school. Through needs survey of teachers and students, this research It was explored the reinforcing method of the open secondary school’s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es Through needs survey of teachers and students, this research. We analyzed the previous research and policy review, survey and focus group interview and expert. We presented several ideas about the way to manage the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es for open secondary school. First idea we suggested is that reflected the open secondary school’s students and teachers’ needs. Second, we proposed measures to improve the operation for direct experience and utilizing the on-line contents. Third, we suggested new systems (Recognition way of external activity/ Teacher training/ Reward system). Finally, we proposed to develop the human resources by giving educational training for teachers. In conclusion, the expanding of the facilities and agencies is necessary to support the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es. In addition, flexibility is required to promote improvements of the agencies and facilities management. To effect improvement, it needs more budget to support the operation of the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y of open secondary school. It provides basic direction and management measures that can be used in future research on the effectiveness of operation in the open secondary school’s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