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에서는 한국교육개발원의 한국교육종단연구 6∼8차년도 데이터를 사용하여 일반계 고등학교 학생의 수학과 과학 심화과목의 수강 현황과 심화과목의 수강이 자연·공학·의약계열 진학자들의 전공 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자연·공학계열 학생들에 비해 의약계열 학생들은 수학 및 과학 심화과목을 선택한 학생의 비율이 낮았으며, 자연·공학계열 진학자들의 절반 정도는 고등학교에서 화학Ⅱ와 생물Ⅱ를 선택하여 학습한 것으로 나타났다. 심화과목의 수강이 계열별 전공 몰입에 미치는 영향력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연계열 학생들의 경우에만 이과 주요 선택과목 및 물리 II의 수강이 전공 몰입에 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의약계열의 경우는 심화과목 수강과 전공 몰입 사이의 유의미한 연관이 드러나지 않았다. 이와 같은 결과는 우리나라의 고교-대학교육의 느슨한 연계를 시사한다.


In consideration of alignment between secondary and postsecondary education,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course-taking in high school on STEM students' academic commitment in university through analyzing the longitudinal data from Korean Educational Longitudinal Study 2005. The result indicates that medical and pharmaceutical students were less likely to take advanced math and science subjects than natural sciences and engineering students. Half of the students majoring in natural sciences and engineering took advanced chemistry and advanced biology courses in high school. The regression analysis finds that taking advanced math and science courses in high school had modest effects on STEM students’ academic commitment. Specifically, taking advanced math and science subjects had a modest positive effect on the academic commitment of students who study natural sciences in university while the effects of taking advanced courses in math and sciences were insignificant for students studying engineering, medical, and pharmaceutical sciences. These results might imply the loose alignment between secondary and post-secondary education in South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