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In this study, I provide comparative pictures of labor market outcomes for women in four East Asian countries to gain an understanding of the dimension of gender hierarchy. Labor market outcomes for women, with respect to the gender gap, include employment rates, working hours, and wages. I try to explain here what factors would account for differences in women’s labor market outcomes across these countries, drawing on how social and labor policies at the national level shape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female labor force participation. I rely on the methodology used by OECD Family Database and present comparative statistics on countries for which data are available. I found that women in East Asia have increasingly entered the labor market, except for China where market forces have had a negative influence on female workers during the capitalistic economic reform. It is seen that country-specific social and labor policies, reflecting different attitudes towards the gendered division of labor across countries, shape patterns and trends for women’s participation in the labor market in different ways.


본 논문은 동아시아 4개국 (한국, 일본, 중국, 싱가포르) 여성들의 노동시장 성과를 비교함으로써 위계적 성별 질서에 대한 이해를 제시했다. 노동시장 성과로서 고용률, 근로시간, 임금을 지표로 삼아 분석을 진행했다. 여성 노동시장 성과에서의 차이를 설명하는 요인을 탐색적으로 제시하고자 했다. 특히 국가 간 사회정책과 노동정책에서의 차이가 노동시장에서의 남녀의 격차와 어떤 관련이 있는지 살펴보았다. OECD 가족 데이터베이스에서 자료를 구축하는 방법론을 사용하여 개별 국가의 자료를 비교 가능하게 구축했다. 본 논문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자본주의적 시장개혁에 노동시장에서의 여성의 경제적 지위를 약화시키고 있는 중국을 제외하고 동아시아 국가에서 여성의 노동시장 진출은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개별 국가의 성역할 관념, 그에 기반한 사회정책과 노동정책은 근로시간과 생애주기별 노동시장 참여 형태의 남녀 격차에서 국가가 차이를 야기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