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Although in-depth research on the topic is relatively rare, music and musical performances should not only be considered to be aural phenomena, but visual ones as well. This paper investigates one specific form of visuality and what can be learned about Korean culture by observing and analyzing album covers of popular female performers from the 1920s to the 1960s, including photographs, art work, and portraiture of the singers. Conclusions can be drawn about the changing society of the time, and the role that music—or more specifically musicians, producers, and the record companies who created the albums and album jackets—played in helping to solidify the notion of modernity in Korea in the first half of the twentieth century and the inextricable position of women in striking a balance between tradition and modernity.


본 주제에 대한 깊은 연구는 이제까지 별로 나온 것이 없다 할지라도, 음악과 연주를 단지 청각적으로만 들을 것이 아니라 시각적인 각도에서도 감상을 해야 한다. 본 논문은 눈으로 보는 특정한 형태에 대해 연구하고 1920년대서부터 1960년대까지 여성 대중 가수들의 앨범커버에 나타나는 사진, 예술적 표현, 가수의 인물 묘사법을 포함한 그 시대의 한국의 문화에 대해 고찰하고 분석해 봄으로서 변화하는 사회 속에서의 음악의 역할에 대해 결론을 낼 수 있다. 좀더 정확하게 말을 하자면, 앨범과 앨범 자켓을 만들어 낸 음악가, 프로듀서, 및 음반 회사들이 20세기 초반 반 세기 동안 한국에서의 현대화를 고착시키는데 있어서 어떻게 도움을 주었는지, 전통과 현대 간의 현저한 차이의 균형을 맞추는데 불가분한 여성의 지위가 어떠했는지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