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에서는 과학교육에서 나타나고 있는 성차의 실태를 분석하고 성차 해결을 위한 정책 방안을 모색하였다. 이를 위해 남녀 학생의 과학성취도와 태도에서 나타나는 차이와 이러한 차이를 만드는 교육적 요인을 일반 과학교육과 영재 과학교육 현황을 통해 분석하였다. 또한 우리나라 여성과학기술인력의 실태를 진단하고, 과학기술 분야에서 성차 해소를 위한 국내외 정책을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우리나라 과학교육에서는 남녀 학생의 성차가 명백하게 나타나고 있었다. 수학·과학 영역의 국제비교연구인 TIMSS와 PISA에 의하면 우리나라 학생의 성차는 다른 참가국에 비해 훨씬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였다. 이러한 현상은 성취도뿐 아니라 태도 영역에서도 일관되게 나타나고 있으며, 이로 인해 과학에 재능과 흥미가 있는 여학생은 과학기술 분야로의 진학과 직업 선택을 포기하기도 한다. 결과적으로 이공계 대학 및 대학원에 진학하는 여학생의 비율이 낮아지게 되며 여성과학기술인력의 부족이 심화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 여성과학기술인의 경우, 정규직 교수는 10%대, 책임급 연구원 이상의 비율은 한 자리수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여성과학기술인력의 부족은 과학기술 분야에서 여성의 역할 모델을 축소시킴으로써 다시금 과학교육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형태로 순환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과학 교육과정과 교수학습에서 성차 개선 노력, 과학기술과 여성에 대한 인식전환을 위한 사회적 노력, 국가 차원의 지원이 동시에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irstly to analyze the gender difference in science achievement and the attitude towards science among regular students and gifted students; secondly, to examine the facts on the ratio of women in science and engineering and further explore efficient strategies to reinforce women's participation in the science and engineering field. As results, there was an evident gender difference in science education in terms of science achievement and attitude towards science. This also contributed to a lower rate of female students majoring in natural science and engineering. The lack of a role model for women scientists and engineers effects a lower rate of female students who pursue further studies in science and engineering in graduate school.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there has to be substantial government action, a change of attitude towards women in science and technology and efforts to improve the gender factors in teaching/learning in the science education curricul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