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에서는 한국사회학에서 여성연구의 특성과 한계를 분석하고, 향후 여성(또는페미니스트)사회학의 발전을 위한 이론적, 방법론적 과제를 논의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사회학회 기관 학술지인 『한국사회학』과 한국여성학회 기관학술지인 『한국여성학』을주된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1980년대 이후 여성사회학 연구는 여성노동에 대한 관심증가, 여성학의 제도화, 여성운동의 확대, 여성 연구자 증가 추세를 배경으로 두 가지경로를 통해 발전해 왔다. 우선 주류 사회학에서의 여성연구는, 1960-1970년대는 여성부재의 사회학, 1980-1990년대는 여성연구의 양적 성장이라는 특징을 보였다. 2000년대부터 여성사회학 연구는 양적 증가뿐 아니라 연구 주제 및 영역의 확장이라는 질적 성장을 이루어왔으며, 이러한 경향은 오늘날에 이르고 있다. 한편 1984년에 한국여성학회가 설립된 이후 페미니스트 사회학연구가 등장하면서 주류 사회학에서 분석되지 않았던주제 및 개념을 분석하면서, 사적인 것으로 간주되었던 쟁점을 학문적 주제로 이끌어냈다. 방법론적으로도 심층 면접, 구술사 등 다양한 질적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양적 분석에서 간과되어 왔던 여성경험의 의미를 해석해 왔다. 그러나 사회학 내에서 여성연구는젠더 정체화와 젠더 양극화로 인해 젠더 위계와 불평등이 (재)생산되는 한계를 보여주었다. 따라서 향후 한국사회학에서 여성연구가 확장되고 사회학 지식생산에 개입하기 위해서는, 주류 사회학에서 여성연구의 확대와 주류 사회학과 거리를 둔 페미니스트 사회학 발전이라는 두 가지 전략, 즉 통합과 분리 전략을 넘어서 사회학에 대한 페미니즘의보다 적극적 개입이 요구된다.


This paper aims to discuss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considerationsfor future development of feminist sociology by analyzing the implications andlimitations of feminist studies in Korean Sociology. For this, it collects andanalyzes data from the Korean Journal of Sociology and the Journal of KoreanWomen’s Studies. Given the context of increased interests on the issue of femalelabour, institutionalization of women’s studies, galvanizing of women’s movements,and a large increase of female scholars, feminist sociology studies havedeveloped in two directions since 1980s: first, feminist studies in the mainstreamsociology rarely focused on gender issues in the 1960s and 1970s, butquantitative growth and development was achieved in the 1980s and 1990s;second, feminist sociology studies have developed both quantitatively andqualitatively in terms of issues and concerns since 2000. On the other hand, withthe establishment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Women’s Studies in 1984,feminist sociology studies have carved out a vibrant new field of inquiry whichhas been regarded as a private and trivial issue within the mainstream sociology. Methodologically, they have developed diverse qualitative methods includingin-depth interviews and women’s oral histories, which allow reinterpreting andreconstructing women’s experiences and memories that have been expresslydenied and excluded. Feminist studies in Korean Sociology, however, have facedsome limitations caused by gender polarization and gender identification. Basedon these analyses, this paper sets an agenda for expanding feminist studies in Korean sociology and intervening in the process of knowledge construction in sociology. This goal can be achieved by two strategies, which may require strengthening feminist studies and developing feminist sociology by going beyond integration and segreg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