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은 독일 교육학내에서 전개된 비판적 경향을 살펴보고 관점을 확장해 봄으로써 비판적 교육학의 계속적인 발전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호르크하이머와 아도르노의 초기 비판이론과 하이돈과 코네프케의 비판적 교육이론을 지향하는 비판적 교육학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이 두 비판 이론의 기본사상은 교육학의 내적 모순에서 출발한 교육학 자신의 전제와 사유의 출발점에 대한 끊임없는 자기성찰의 과정이다. 하이돈과 코네프케는 “교육과 지배의 모순”과 “통합과 전복”의 표현으로 교육과 지배사이의 모순관계가 아니라, 교육의 변증법적 모순, 즉 지배비판(해방적)과 시민사회 지배의 고착화(지배적)의 두 측면을 주목한다. 한편 본 논문에서는 인간의 해방을 목적으로 하는 교육학이 오늘날의 세계화와 이주과정의 맥락에서 차이와 사회적 배제의 문제를 간과함을 문제화한다. 즉, 이러한 해방적-보편적 요구를 전제로 하는 비판의 결여는 비판적 교육학 스스로에게 향하는 문제제기와 의심을 소홀히 하게 한다. 비판적 교육학은 얼마나 자기 비판적인가? 라는 문제를 제기하게 한다. 이러한 의미에서 비판적 교육학이 비판하고자 하는 헤게모니와 불평등한 지배구조의 재생산 문제를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차이와 연계하여 전개된 관점을 수용하는 것은 기존의 비판적 교육학을 추상적으로 부정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비판적 가능성을 전개하고 발전시키는데 의의가 있다.


Critical pedagogy that is based on the critical theories of the Frankfurt School and kritische Bildungstheorie is basically skeptical about the inner contradictions of pedagogy and requires the self-reflection of pedagogy about the premise on which it has been built and what it has stemmed from. This study pays attention to the fact that critical pedagogy that aimed at emancipatory human needs overlooked the matters of 'difference' and social exclusion amid the flow of globalization and migration. The fact that critical pedagogy itself lacks criticism denotes that it is negligent of or rule out its own problems or doubts about itself though it is basically in pursuit of addressing emancipatory-universal needs. How much is critical pedagogy self-critical? This question poses another question if critical pedagogy actually makes a contribution to the reproduction of the existing hegemony and unfair governing structure that it criticizes or intends to criticiz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troduce the two sorts of Widerspruchskonzeptionen, namely the critical theories of the Frankfurt School and kritische Bildungstheorie, to explore their basic critical concepts and to discuss what it would mean in critical pedagogy to shed light on 'difference.'This study paid attention to the requirement that social discrimination should be considered when kritische Bildungstheorie is established and put in practice, and to the importance of reflection on 'difference.' Yet it didn't mean to disapprove of critical pedagogy. Rather, this study is expected to make a contribution to the enlargement of the horizon of critical pedagogy and the realization of its critical potentia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