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중세 이후 대학은 자유교육의 이념에 따라 고도로 추상화된 지식을 추구하는 곳으로 여겨져 왔다. 그러나 오늘날 대학의 이념은 두 가지 정반대 비판에 직면해 있다. 하나는 지나치게 추상화된 지식을 가르친다고 보는 관점이고, 다른 하나는 지식의 결과 혹은 실용성만을 강조한다고 보는 관점이다. 그러나 지식을 가르친다고 해서 모두 자유교육은 아니다. 잘못된 지식 교육은 자유교육의 목적, 즉 인간의 마음을 자유롭게 하지 못한다는 점에서 타락한 형태의 지식 교육이 되기 쉽다. 이 점에서 교육의 전형처럼 여겨져 온 지식교육이 과연 자유교육의 성격에 충실한가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대학은 어떤 식으로든 자유교육의 전당으로 여겨져 왔다는 점에서, 대학의 이념은 이런 논쟁을 피하기 어렵다. 이 논문은 대학의 이념으로서 자유교육의 성격을 오우크쇼트가 제시한 언어와 문헌의 구분을 중심으로 재조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오우크쇼트가 제시한 언어와 문헌의 구분을 바탕으로 온전한 의미의 지식교육 혹은 자유교육의 특징을 살펴보고, 이런 논의가 오늘날 대학 교육에 시사하는 바를 탐구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nature of liberal education as the idea of a university in light of the distinction between language and literature. Oakeshott suggests an unique logic that separate between information or text and judgement or language. This distinction may helps us to offer a fuller meaning of liberal education and to justify the liberal idea of education in a university. To accomplish this end, we look at an Oakeshott’s idea of a university and suggest some implications the idea of university through examing the distinction between language and literature. According to the Oakeshott’s view, information or text is composed of objective fact which are extract results of thinking. The transmission of information or text is mainly delivered by ‘instructing’. In contrast, judgement or language is constituted of different ways of thinking or a subtle expression modes that are not propositioned. It includes tones of voice, hand gestures, facial expressions. The transmission of judgement or language is mainly delivered by ‘imparting’. Education is an initiating student into an inheritance of human achievements. The component of this worlds are expressions of human minds. Therefore a university should pursue the idea of liberal education, which are to participate in a conversation with his or her own voice. And a participation could only learn a language in a university that there is coexistence of various voi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