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는 ‘일제말기 한국문학과 만주’ 관련 연구 분야에 ‘페미니즘 지리학’ 방법론을 도입함으로써, 만주 배경 소설에 나타난 남성적 시선에 문제를 제기하고자 한다. 이효석의 『벽공무한』이나 한설야의 『대륙』과 같은 작품에서 만주 공간은 정복하고 소유할 수 있는 개척지로서 인물의 모든 욕망을 판타지적으로 충족시키는 서사 전개의 무대이다. 식민지를 바라보는 시선은 제국주의적인 동시에, 남성이 여성을 바라보는 시선을 그대로 닮아있다. 만주 공간은 현실 공간인 조선과 분리된 채 남성적 야망을 충족할 수 있는 닫힌 공간으로 재현되었다. 이러한 닫힌 공간에 틈을 낼 수 있는 가능성은 인물들의 위치나 태도, 만주 공간의 내/외부를 가로지르는 어떤 장소 등에서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본고에서는 『사랑의 수족관』의 여성 인물 ‘강현순’의 역설적 위치에서 그 가능성을 찾아보았다. 중심 공간인 경성에 속해있지만 그 중심의 힘인 자본(혹은 권력)을 소유하거나 지향하지 않고 자신만의 삶의 태도로서 중심에 속한 인물들에게 영향을 미치고 있기 때문이다. 『벽공무한』의 여성 인물 ‘나아자’는 남성의 이상향을 그대로 체현한 인물인 반면, 『대륙』의 ‘마려’는 주체적 의지와 판단에 의해 행동하는 인물이다. 하지만 그러한 자발적 협력은 일본의 제국주의적 힘이나 자본의 영향력을 가리는 은폐막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대륙』에 그려진 만주 공간의 가능성은 여성 인물이 남성적 시선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한 것처럼 자본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하다는 전제 위에서 펼쳐지는 (불)가능성일 수밖에 없다. 이렇게 보면 만주 공간을 바라보는 남성적 시선과 여성 인물의 재현은 일정한 연관성 하에 연결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is aimed to question masculine viewpoint observed in the novels with Manju as setting by introducing applying the methodology of ‘feminism geography’ to research areas related to 'Korean literature and Manju at the end of Japanese colonization era of Korea'. As seen in Lee Hyo-seok's novel 'Byeokgongmuhan' or Han Sul-ya's novel 'Continent', Manju is the space where narration is unfolded satisfying all sorts of human desires in a fantastic manner, as a conquerable and possessable land. The perspective on the colony is imperialistic and similar to that on which men have women. In the novels, Manju was represented as a closed space away from the reality - Chosun - and satisfying manly desires. The potential to crack such close space can be found in character's situation and attitude and some locations cutting across Manju. The present study attempted to find the potential in the situations in which 'Kang Hyun-soon', who is a female character in the novel 'Aquarium of Love'. Although placed in Gyeongseong (Seoul), which is a central space of the storylines, she influenced over other characters in the center with her own attitude to her life, without possessing or pursuing capital (or authority), which is the main force of the center. While 'Naaja' the female character of 'Byeokgongmuhan' materializes male masculine utopia as it is, 'Marye' in 'Continent' is a female character that acts on her subjective will and judgement. However, such voluntary cooperation can be a bank to protect and conceal the power of Japanese imperialism or the influence of capitalism. Therefore, the potential rendered onto the space of Manju in 'Continent' cannot be possible because the novels were written under the premise that take Manju can't be free from the power of capital just as the female character is not free from the perspective of male characters. Judging from this aspect, male viewpoint and the representation of female characters are connected in the same cont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