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기존의 계열 구분에서 소외되었던 이공계의 전공별 특성과 요구 분석을 설문조사를 통해 추출해 이를 바탕으로 이공계 학습자들에게 필요한 효율적인 글쓰기 지도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목적이다. 영남대학교에서 시행하고 있는 사고와 표현 영역에 대한 강좌인 ‘명저 읽기와 글쓰기’를 수강하는 7개 단과대학과 3개 학부의 대학생 582명의 이공계열 수강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분석해 교과목의 개선점과 방안을 제안하려는 것이다. 그 결과 이공계 학생들 대부분은 글쓰기에 대해 부정적인 생각을 지니고 있었지만 글쓰기 능력 향상이라는 점에서 교과목의 수업 방법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고, 세부적으로는 이로 인한 맞춤법의 이해, 논리적‧비평적 글쓰기, 글쓰기를 통한 사고 배양 등의 유익한 점을 밝히고 있었다. 또한 읽기, 토론․발표, 브레인스토밍, 마인드맵, 시청각 자료 활용 등과 같은 다양한 활동을 통해 글쓰기에 국한된 수업이 아닌 다양한 영역과의 연계를 통한 자기 표현 증대와 자기소개서, 보고서와 같은 실질적인 글쓰기 요구가 높았는데 이공계 학생들이 의사소통과 실용성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점을 바탕으로 ‘교과목에 대한 긍정적 인식 고양, 다양한 독서법을 통한 글읽기의 시각화, 명저의 내용과 실생활의 관련성을 높힌 자기 표현 증대, 실생활에 적용할 수 있는 글쓰기, 학습자 개인에 맞춘 단계별 첨삭’을 효율적인 지도 방안으로 제안하였다.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and the needs by each majors of Science and Engineering which are alienated from the previous college division by way of questionnaire survey for the writing course. And then, this study is to seek for an efficient teaching plan for the learners of Science and Engineering writing course. In order to attain the goal of this study,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carried out for 582 students of 7 colleges and 3 faculties of Science and Engineering who attend the writing courses in Yeungnam University. By analyzing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survey, this study is to suggest several points to be improved and improvement plan. Most of them have a negative opinion about the writing course more or less. However, in view of the improvement of writing ability, they have a positive opinion about the teaching method of the courses, by which they think that the courses are of much benefit in the understanding of the spelling system, the improvement of the logical and critical writing ability, and the development of thinking ability by way of writing. In addition to this, they demand the contents of practical writhing like cover letter and increasement in the ability of self-expression by way of various activities such as discussion and presentation, brainstrorming, mind map, use of audio-visual materials and by way of various areas which are not confined to writing itself, which means that they look upon communication and practicality as import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