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은 2005년도 한국노동연구원의 『참여적 작업장 혁신 실태조사』등 3가지 자료에 기초하여 우리나라 고성과조직시스템(high performance organizational system, 이하 HPOS)의 영향요인과 효과를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고성과작업조직시스템의 영향요인 분석에서는 분석 수준을 개인수준과 조직 수준으로 구분하여 개인수준에서는 업무만족 등 4개 변수에 대한 효과를 검토하며, 조직 수준에서는 품질, 매출 등 4개 변수에 대한 효과에 초점을 둔다. 분석 결과 고성과조직시스템은 개인수준과 조직 수준 모두에서 성과를 유의하게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고성과조직시스템의 구성요소에 따라 성과변수에 미치는 영향이 상이한 것으로 나타나 조직 목표에 따라 고성과조직시스템의 초점과 내용이 상이해야 함을 결과는 시사한다. 고성과조직시스템에 대한 선행 요인을 실증한 결과 작업조직 관련 고성과조직시스템에는 품질전략이나 자동화 등의 변수가 중요한 선행요인인 것으로 드러났다. 경영정보공유나 인적자원관리 시스템 관련해서는 전문경영인 체제, 정부, 그리고 노조 등이 고성과조직시스템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요인인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high performance organizational systems (hereafter HPOSs) and to find the determinants of the HPOSs in Korea. For the purpose, three kinds of data which are available in 2005 by the Korea Labor Institute (KLI) are analyzed. From both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level analysis, it is found that the HPOSs in Korea are likely to positively affect individual outcomes such as turnover/absenteeism, job satisfaction, and so on, and also to enhance organizational outcomes such as sales, product quality, production innovation, etc. However, the effects of the HPOSs are different in line with the nature of outcomes. The section examining the determinants of the HPOSs reveals that while automation level and enterprise strategy focusing on product quality are major determinants of the HPOSs, when the contents of the HPOSs are work organizations, professional management system, government, and trade unions rise as important factor when the nature of the HPOSs is management information sharing and/or HP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