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은 최근 핫이슈로 재논의되고 있는 창구단일화와 전임자급여지급을 둘러싼 법제도적 쟁점들을 정리해 보고 이를 둘러싼 사회적 대화의 현대적 의미를 재해석해 보기 위해 쓰여졌다. 본 논문은 인접사회과학과의 종합적 토론을 위해 작성된 관계로 법해석학적 도그마틱보다는 법사회학적 접근을 선호한다. 따라서 제도적 이해와 대안 개발에 유의미한 부분에 한정하여 법률적 쟁점을 정리·분석하고 있다. 창구단일화는 여전히 국내적으로 위헌성의 시비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다는 점을 전제로 하면서 국제노동기준에의 저촉 여부를 검토하고 필자 나름의 바람직한 제도상을 제시하고 있다. 전임자급여 제도와 관련하여 노사의 주장이 어느 쪽도 원리적 우월성을 가진다고 볼 수 없음을 전제로 국제적 노동기준을 존중하면서도 한국적 풍토에 적합한 모델을 제시하고 있다. 이 문제는 향후 한국의 노사관계의 지형을 바꾸어 놓을 수 있는 위력을 지니고 있고 합리적인 법제도 형성 못지않게 현장에의 소프트 랜딩을 위한 노사관계 이해당사자(stakeholder)의 지혜가 요구되는 사항이기 때문에, 그간의 사회적 대화 과정을 자세히 묘사하면서 사회공학적 차원에서 그간 시도된 사회적 조합주의 모델의 유의미성을 강조하고 있다.


This article discusses and analyzes the main legal issues of two-fold question of single channel bargaining system and a full-time union official, on which the Korean society has underwent more than a decade of hot debate. It is important to interpret and understand its modern implications. The article aims to facilitate conversation between diverse branches of sociologic studies, so that a multi-dimensional solution can be reached regarding the debated systems. The author prefers a legal-sociologic approach to the problems, rather than using dogmatic interpretations of black letter laws. The readers are advised to be reminded that the discussion is limited to several legal points that are relevant to drawing practical solutions. On the first issue of the single channel bargaining, despite its evolvement in recent years, the current Korean system still poses unconstitutional aspects. The author analyzes whether it also violates international labor standards, and then suggests an alternative to the current system. On the second issue of a full-time union official system, the author points out that neither the employer nor the employee’s argument deserves meritorious claim. The author emphasizes compliance to international standards, while proposing an adaptable model to Korean labor culture. These issues are extremely important in the aspect that it can bring out a total change of Korean labor relations matters. In order to achieve a smoother application to real-life labor disputes, a prudent attitude from the stakeholders is desperately required. This is the reason why the author analyzes in details how previous social dialogues have evolved in the past, using the notion of social corporatisms a recurring theme of the debat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