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은 청소업종 내 남녀 간 직종분리와 남녀 임금격차가 온존 및 확대되고 있는 현상을 Tilly와 Tomaskovic-Devey가 분석한 착취, 기회매점, 자원통합에 의한 불평등의 장기지속 메커니즘에 기초하여 이해하고자 하였다. 청소업종 내 일자리 질 악화와 젠더불평등 확산의 과정을 젠더 차이에 대한 사회적 범주가 조직 내 범주와 결합됨으로써 범주적 불평등이 더욱 고착되는 과정으로 분석될 수 있다고 본 것이다. 또한, 본 연구는 자의적 독단적 현장 관리 시스템에 기초한 기회매점에 의해 여성 청소노동자들이 조직 내 자원과 의사결정으로부터 체계적으로 배제되어 더욱 주변화되는 과정에도 주목하였다. 그러나 본 논문은 청소서비스업 내의 장기지속 불평등의 메커니즘을 분석하는 데 머물지 않고, 서경지부 대학 청소사업장을 중심으로 한 노조 조직화와 초기업 단체교섭이 이와 같은 불평등 구조에 균열을 야기하는 과정을 고찰함으로써 노동조합의 발언권 효과를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성공 사례는 저임금노동자에 대한 법적・제도적 보호체계가 취약하고 산업수준에서의 중앙교섭이 부재하는 제도적 제약요인 속에서도 노동조합이 국지적 차원에서 불평등을 완화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입증하였다.


This article tries to understand the process in which gender wage gap has widened over time in Korean janitorial sector by drawing upon the analyses of Tilly and Tomaskovic-Devey on the mechanism of exploitation, opportunity hoarding and resource pooling that reinforces durable inequality. It tries to explain the occupational degradation and gender inequality in janitorial services by relying upon Tilly’s analysis on the process whereby matching the social categorical boundaries of gender differences with interior organizational categories reinforces inequality at the workplace. Also, this study pays attention to the mechanism of opportunity hoarding linked to the arbitrary managerial despotism that systematically excludes women janitorial workers from organizational resources and decision making, which further contribute to the marginalization of those female workers. Yet, this article does not confine itself to the analysis of the reinforcement of durable inequality. It extends the analysis to the union effects on changing categorical workplace inequality. In this respect, it tries to explain how recent Korean janitorial union organizing and collective bargaining played significant part in shifting categorical relations at some Seoul-area universities by making changes in prevailing patterns of workplace inequality. The union cases point to the possibilities of reducing inequality at local level, albeit the national institutional limitations that come from weak legal protection for low wage service workers and the absence of peak-level coordinated bargaining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