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은 동막도당굿의 제의주체와 진행 방식, 그리고 동막도당굿의 종교적 성격을 중심으로 동막도당굿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굿의 주체와 진행 방식을 통해 동막도당굿을 이해하려 한 것은, 그러한 이해가 굿에 대한 설명에서 기본적으로 필요한 부분이기 때문이다. 동막도당굿은 무당뿐만 아니라 화랭이와 마을주민 등 복수의 주체에 의해 진행되며, 또한 굿의 진행에서 음악과 춤, 신화와 사설, 소리, 재담, 놀이 등의 다양한 문화적 요소의 활용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동막도당굿의 종교적 성격에 대한 관심은 그것이 동막 마을사람들의 삶의 문제와 바램에 대한 해답을 제공하는 종교적 제의라는 점에서 비롯된 것이다. 하지만 동막도당굿의 표층적인 기복적 기능보다는 동막도당굿 절차가 함축하는 심층적 의미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동막도당굿은 제의 대상, 제의 공간과 시간, 제의 절차와 진행 등의 여러 측면에서 마을단위 공동체적 삶에 대한 총체적 재인식의 계기를 제공하는 종교적 기제로서 역할한다. 이런 점에서 동막도당굿은 표면상 마을의 안녕과 번영, 삶의 문제해결 등을 기원하지만 심층적으로는 동막 마을의 “공동체적 삶”의 종교적 표상으로서의 의미를 갖는다. 동막도당굿에서는 나름의 특수성보다는 경기도당굿의 전형적 모습이 두드러진다. 따라서 동막도당굿에 대한 설명은 경기도당굿 일반에 대한 설명과 겹치게 된다. 이처럼 경기도당굿 일반의 전형성을 잘 보여주는 것이 동막도당굿의 중요한 특징이라고 말할 수 있다. 한편 경기도당굿 일반의 모습과 겹치기는 하지만, 동막도당굿에 나타난 굿 진행 주체의 복수성과 진행과정에서의 다양한 문화적 요소의 연행은 한국무속에 대한 기존 시각을 제고토록 하는 의미를 갖고 있다.


This paper aims to understand Dongmak Dodanggut through the ritual subject and mode of ritual performing, and religious nature of it. To understand Dongmak Dodanggut through the ritual subject and mode of ritual performing is that they are considered to be necessary parts in understanding a ritual like Gut. Not only mudang but also Hwaraengyi and the village take part as subjects in Dongmak Dodanggut. And such cultural elements as music, dance, myth, narratives, play are utilized in performing Dongmak Dodanggut. Dongmak Dodanggut is a religious ritual that functions as a religious answer to the problems and desires of human being life. So it is natural to pay attention to the religious nature of Dongmak Dodanggut. This article aims to grasp the deeper meaning of Dongmak Dodanggut through the ritual process of it, rather than the aspect of its surface function of invoking the blessing. Considering various aspects of Dongmak Dodanggut such as ritual object, ritual space and time, ritual process and mode of ritual performing of it, it is enough to say that Dongmak Dodanggut is a religion symbolizing of the whole communal life of Dongmak village. In Dongmak Dodanggut the typical aspect of Gyeonggi Dodanggut is prominent. For such a reason the explanation of Dongmak Dodanggut overlaps the explanation of Gyeonggi Dodanggut. In this regard it is possible to say that showing the typical aspect of Gyeonggi Dodanggut is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Dongmak Dodanggut. And the plural ritual subjects and utilization of various cultural elements in performing Dongmak Dodanggut have the meaning of reconsidering the established viewpoints in studying Korean shamanism.